미래인터넷을 10년후 새로운 먹거리로 집중 지원ㆍ육성키로

방송통신위원회가 19일(수) ‘미래인터넷추진위원회를 공식 출범하였다.

‘미래인터넷추진위원회’는 새로운 정책과제로 미래인터넷을 설정하고 이를 21세기 새로운 국가적 먹거리로 집중 육성한다는 정책비전이다.

공동위원장은 디지털케이블연구원 임주환 원장, 방송통신위원회 형태근 상임위원으로 구성되었으며, 첫 회의에서는 ‘미래인터넷 추진전략(안)’을 깊이 있게 논의하였다.

미래인터넷은 통신방송컴퓨팅센서망이 모두 융합되어 언제 어디서나 개인의 특성 및 상황에 맞는 최적의 서비스를 끊임없이 제공받을 수 있는 환경으로 현재 인터넷이 가지고 있는 구조적 한계를 해결하고 새로운 융합서비스와 다양한 단말을 수용할 수 있는 기술 및 서비스 모델이다.

이번 전략(안)에서 방통위가 제시한 미래인터넷의 5대 핵심서비스 방향인 ▲고품질 실감형(Realistic) 서비스, ▲지능형 스마트(Smart) 서비스, ▲이동성보장(Seamless) 서비스, ▲생산성 향상을 위한 녹색(Green) 서비스, ▲믿고 신뢰할 수 있는(Trusty) 서비스 등은 기존 네트워크 위주 정책방향에서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ㆍ컨텐츠까지 포함하는 새로운 정책패러다임을 제시한 것으로 관심을 끌고 있다.

이번 전략(안)을 토대로 2010년 8월까지 ‘미래인터넷 종합계획’을 수립하게 될 미래인터넷추진위원회는 정부ㆍ민간 공동위원장과 산ㆍ학ㆍ연 전문가 20인으로 민간협의체로 구성되어, 인터넷을 통한 미래 사회의 발전 방향을 전망하고 미래인터넷 분야 정책에 대한 사전 검토 및 정책자문 등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