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규제 강하고 합동단속도 시작…영향 제한적"
"수익형부동산, 중소형 아파트 수요 증가할 것"
   
▲ 서울 일대 아파트 전경./사진=미디어펜

[미디어펜=유진의 기자]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2년 만에 다시 역대 최저 수준으로 인하하면서 부동산 시장에 어떤한 영향이 미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에 부동산 전문가들은 시중의 유동자금이 단기적으로 부동산 시장에 유입될 것으로 내다봤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지난 16일 오전 서울 중구 세종대로 한은 본부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결정 회의에서 금리를 기존 연 1.50%에서 1.25%로 0.25%포인트 인하했다. 지난 7월 금리를 1.75%에서 1.50%로 낮추고, 8월 동결한 이후 또 한 차례 인하한 것이다.

금리 인하는 금융비용은 줄이고, 투자수익률은 높여 부동산 시장을 활성화하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이미 시중의 저금리가 장기간 이어져온 상황에서 이번 금리 인하는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거나 제한적일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특히 주택담보대출비율(LTV)·총부채상환비율(DTI)·총체적상환능력비율(DSR) 등 강력한 대출 규제가 가동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금리 인하가 추가 자금 수요 유입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

전문가들은 금리인하에 따른 유동성 확대를 부동산 시장의 호재로 인식할 수 있으나 금리인하가 거시경제 부진을 의미하는 만큼 장기적으로는 부동산 수요 위축이 우려된다는 목소리다.

게다가 정부가 시장 과열시 추가 대책도 내놓을 가능성이 높아 실수요 중심으로 신중하게 접근할 것을 권고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WM스타자문단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금리인하는 대출금리 하락으로 이어져 부동산 시장의 활성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위원은 이어 "금리인하는 금융비용 하락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레버리지를 많이 이용하는 수익형 부동산, 상가나 꼬마빌딩 등에 더 많은 영향이 예상된다"면서 "신혼부부 등 실수요자들도 대출 위존도가 높아 중소형 아파트 등에도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기준금리 인하는 부동산 신규 구입자나 차주의 이자부담 경감 효과가 있다"라면서도 제약 요인도 크다고 설명했다.

함 랩장은 "최근 집값 상승에 따른 피로감이 커졌지만 부동산 외에 대체 투자처가 없고 서울 선호 현상은 여전하기 때문에 서울 주택 가격은 현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정부가 11일부터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대대적인 실거래가와 중개업소 합동조사에 착수함에 따라 당분간은 상승세가 주춤하고, 거래도 소강상태를 보일 가능성이 크다.

함 랩장은 "금리가 인하되더라도 무주택 실수요자의 분양시장에 대한 청약 선호 현상이 유지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대출과 금리에 민감한 상가·오피스텔 등 일부 수익형 부동산 시장에도 호재가 될 수 있다. 은행 금리가 떨어질수록 임대사업을 통한 월세 선호 현상은 더욱 뚜렷해지면서 규제가 많은 주택보다 상가 등으로 관심을 돌릴 수 있기 때문이다.

송파구 일대 M공인중개사사무소 이(50)대표는 "상가 매입시 대출하면 대출 이자가 낮아지기 때문에 호재로 볼 수 있고 특히 투자가 활성화 되므로 비어 있는 상가가 줄어들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다만 금리 인하를 하게 된 원인이 경기가 나쁘다는 것으로 볼 수 있고 부동산 측면에서는 경기가 나빠도 살아남는 상가만 호재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청약 대기 수요로 인한 전세가격 상승 압력도 커질 전망이다.

그는 "임대기간 갱신권 및 임대료 상한제 등 임대차시장의 구조전환을 가져올 제도 개선이 진행 중이고 낮은 금리는 세입자의 대출이자부담을 낮추는 경향이 있어 임대인의 전세보증금 증액 요구를 받아들이기가 쉽기 때문에 전세대기수요가 공급보다 많은 일부지역은 전세가격이 국지적으로 오르는 경우도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다만 "올해 35만 호에 이에 2020년에도 전국 아파트 입주물량이 30만 호가량 공급될 예정이라 서울 등 일부지역을 제외하고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전세가격 상승 압력은 낮을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미디어펜=유진의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