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지정·고시 이어 25일 기념행사…한시적 개방
   
▲ 강원 인제 한계산성 하성 남문터 [사진=문화재청 제공]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고려 시대에 몽골에 대비해 쌓은 '인제 한계산성'이 오는 21일 국가지정 문화재 사적 553호로 지정·고시된다.

문화재청과 강원도 인제군은 한계산성의 역사적 가치를 높이고 사적 지정의 의미를 되새기고자, 오는 25일 옛 옥녀탕 휴게소 주차장에서 사적 지정 기념행사를 연다고 17일 밝혔다.

한계산성은 인제군 북면 한계리 설악산 천연보호구역과 국립공원 안에 있으며, 한계산 동남쪽과 서남쪽 암벽지대를 활용해 조성, 그동안 일반인의 출입이 불가능했다.

25일에는 국립공원공단 후원으로 행사장을 출발, 한계산성 남문을 돌아오는 트레킹과 팸투어 행사를 마련, 한시적으로 개방하기로 했다.

한계산성은 13세기 축조된 전형적인 고려 산성의 구조다. 

둘레는 약 7㎞이며, 길이 1.7∼1.9㎞인 상성과 5∼6㎞인 하성으로 나뉘는데, 상성은 몽골 침입에 대비해 쌓았고, 하성은 반원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대대적으로 개축했다고 알려졌으며, 현재 남한 내에서 가장 험준한 곳에 축조된 산성이다.

이후 조선 초기 왜구의 침략에 대비해 성곽을 수축(修築)한 것으로 전해졌다.

건축사 측면에서는 시대 변화에 따른 성곽 확장과 성벽 연장을 잘 보여주는 문화재로, 성곽과 별도로 만든 망대인 '돈후' 시설을 갖췄고, 외적 침략 시 성안에 들어가 싸우는 입보산성(入保山城)이다.

특히 상성에서는 구들 건물터 15곳과 부분적으로 남은 성벽 기저부를 확인했고, 청자와 도기 조각이 나왔으며, 하성에서는 1358년을 의미하는 '지정십팔년'(至正十八年)명 기와와 백자 조각, 건물터 18곳이 발견됐다.

험준한 지형에 건설한 한계산성은 고려시대 산성 축성 방식과 부속 시설물 변화 양상을 알려주는 대표적 중세 유적이어서, 가치가 높다고 평가된다.

'고려사'에는 1259년(고종 46년) 몽골에 투항한 조휘 일당이 몽골군을 이끌고 와서 공격했으나 점령하지 못했고, 성에 있던 방호별감 안홍민이 야별초군을 이끌고 나아가 적을 섬멸했다고 돼 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