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 최근 금융당국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익스포저 규제에 나서면서 증권업계 전체가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 몇 년간 ‘수익구조 다변화’에 나섰던 증권사들은 당국의 규제 취지에는 어느 정도 공감하면서도 그 수위가 너무 높다는 점에 대해 당혹스러운 표정을 짓고 있다.
|
 |
|
▲ 사진=연합뉴스 |
1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당국이 부동산 PF 관련 규제에 대한 업계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5일 부동산PF 건전성 관리 방안을 확정 지으면서 증권사의 부동산 채무보증 한도를 ‘자기자본의 100% 이내’로 하도록 했다.
아울러 자기자본 3조원 이상의 종합 투자은행(IB)에 대해서는 부동산대출을 신용위험액 특례 대상에서 배제하고 일반 증권사와 동일하게 영업용순자본에서 전액 차감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조치는 최근 들어 전통적인 브로커리지 수익구조에서 탈피해 부동산 PF 관련 수익을 늘리고 있던 대형 증권사들로서는 타격이 불가피한 규제라는 게 업계 중론이다.
실제로 이번 방안이 발표된 이후 한국기업평가는 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메리츠종금증권, 하나금융투자의 PF 익스포저 감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지난 9월말 기준 PF 우발채무가 자기자본 규모를 넘어서고 있는 메리츠종금증권은 약 2조 3000억원 규모의 PF 우발채무 감소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관련 소식이 전해지면서 주당 4200원선이던 메리츠종금증권의 주가는 현재 3600원대로 떨어진 상태다.
최근 들어 부동산 투자로 큰 이익을 본 증권업계의 수익구조에 대해서는 우려도 존재했던 것이 사실이다.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는 상황이 오면 리스크가 커질 수 있다는 지적도 계속 있어왔다.
이번 조치는 그 리스크에 대한 선제적 관리라는 측면에서는 공감대를 얻고 있는 부분도 있다. 그러나 일괄적으로 우발채무가 자기자본 규모를 넘어서지 못하도록 한 조치는 과하다는 지적이 함께 나온다.
국내 증권사 한 관계자는 “수수료 중심의 전통적인 수익구조가 더 이상 기능하지 않는 상황에서 금융당국과 회사들 모두 새로운 수익원을 찾기 위해 애써왔다”면서 “성공적으로 새로운 수익구조로 이행한 회사들이 한순간에 더 큰 리스크를 감당하게 됐다는 점에서 이번 조치는 대표적인 ‘정책 리스크’ 사례로 기록될 것”이라고 말했다.
안정적인 수익원을 찾아야 하는 증권사들로서는 이번 조치로 또 다시 새로운 먹거리를 찾아야 하는 상황이 도래했다. 이 과정에서 당국의 정책적 조치에 떠밀려 위험도가 더 높은 투자처에 의지해야 할 경우 정책의 취지가 무색해질 가능성도 존재한다.
업계 다른 관계자는 “금융당국은 증권사들이 왜 부동산투자에 집중했는지를 먼저 살피려는 노력을 했어야 한다고 본다”면서 “증권사들이 수익성을 유지하기 위해 부동산 PF보다 오히려 리스크가 큰 해외 대체투자 등으로 투자전략을 수정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