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소정 기자]미국이 2년 만에 북한의 미사일 도발과 관련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소집을 요구했다. 최근 북한이 지난 7일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에 있는 서해위성발사장에서 로켓엔진 시험을 한 직후이다. 

유엔 안보리는 미국의 요청에 따라 11일 안보리 전체회의를 열어 북한 미사일 문제를 논의한다고 로이터통신이 9일 보도했다. 

로이터통신은 또 “현지 외교관과 전문가들은 북한이 2017년 이후 중단했던 핵 실험과 장거리미사일 시험을 재개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이 그사이 세 번 만났지만, 비핵화 합의를 위한 어떤 진전도 이루지 못했다”고 전했다.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미국의 신속한 대응이 나온 셈이다. 그동안 미국은 북한이 지난 5월부터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연달아 발사했을 때 영국과 프랑스, 독일 등이 규탄하는 공동성명을 발표하는 것에 동참하지 않았다.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의./연합뉴스


하지만 최근 북한의 동창리 이상 징후에다 김성 주 유엔 북한대사가 “비핵화는 대화 테이블에서 내려졌다”고 말하고, 김영철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장 등이 트럼프 대통령을 조롱하는 담화를 낸 상황에서 북미 간 긴장 수위가 고조될 전망이다.

한편, 미국은 이와 별도로 영국·프랑스·독일 등 8개국이 12월10일 세계 인권의 날에 맞춰 북한정권의 인권 침해를 부각하기 위해 안보리 소집을 요구한 데 대해선 서명을 거부했다고 뉴욕타임스가 보도했다. 북한인권 논의로 북한을 자극하기보다 더 엄중한 현실인 북한 도발에 논의를 맞춘 것이다.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이와 관련해 “북미가 말대 말을 넘어 행동대 행동으로 전화하려고 하는 상황으로 이렇게 강대 강으로 가다보면 어느 한쪽이 선을 넘지 않을지 우려스럽다”며 “미국이 안보리 회의를 요청한 것은 일종의 대선 보험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김 교수는 “혹시 있을지 모를 북한의 ICBM 발사를 사전에 차단하려는 공개적 경고이면서 또 중국‧러시아 등을 사전에 제약해 북한의 새로운 길 영역을 축소하려는 의도도 있는 것 같다”며 “관건은 안보리에서 중국‧러시아가 어떻게 나올지가 대단히 중요하다. 이는 북한의 새로운 길이 어떻게 전개될지 예측해볼 수 있는 것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