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모전·비즈니스포럼·워크숍 등 진행…해외 사례 공유
상용화 기술 58개 중 7개 미확보…2021년 확보 목표
   
▲ 12일 서울 팔래스 호텔에서 열린 '2019 원전해체 비즈니스 포럼'에서 정재훈 한수원 사장이 개회사를 하고 있다./사진=한국수력원자력


[미디어펜=나광호 기자]정부가 원전해체 산업 육성에 대한 의지를 표명한 가운데 한국수력원자력이 대내외에서 아이디어를 모으고 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한수원은 지난 12일 산업통상자원부와 서울 팔래스 호텔에서 '2019 원전해체 비즈니스 포럼'을 개최했다. 이 행사에는 정부·원전 공공기관 및 국내외 업계 관계자 등 300여명이 참석했다.

'원전해체산업 육성을 위한 실행계획'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안전성·경제성이 담보된 원전해체 추진전략 및 글로벌 시장 진출 모색을 위해 마련됐으며, 미국·프랑스 등의 국가들이 경험과 현안을 공유했다.

부대행사로 열린 원전해체 기술전시회에서는 지난 8월 국내 산업체를 대상으로 실시된 공모전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한 전테크의 '원전해체 가연성폐기물 건식 열분해 감용기술'도 발표됐다. 이는 가연성폐기물을 열분해해 부피를 감용하는 것으로, 전테크는 이를 적용하면 원전 1기당 7000드럼의 방사성 폐기물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재훈 한수원 사장은 "핵심기술을 개발하면서 중소기업에 기술도 이전, 원전 생태계에 활력을 불어넣는 계기로 삼을 것"이라며 "관계기관 및 업체들과의 적극적인 업무협조를 통해 관련 기술·산업이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원전해체산업은 건설산업만큼은 아닐지라도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주고 있다"면서 "안전하고 경제적인 해체를 위해서는 세계 각국의 사례를 살펴보고 우리 상황에 맞게 접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 '원전해체 시범사업 공모전'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한 원전해체 가연성폐기물 건식 열분해 감용 기술./사진=한국수력원자력


한수원은 지난 11일에도 대전에서 한국전력기술, 한전KPS, 한전KDN, 한전원자력연료, 두산중공업을 비롯한 12개 기관 경영진과 '소통·상생을 위한 원자력 유관기관 대표 간담회'를 통해 혁신 원자력 연구개발센터 기반조성 추진현황 및 원전해체사업 활성화 방안 등을 논의했다.

원전 인근 지역 지자체 등과 생태계 활성화를 모색하기도 했다. 해체기술 공유를 통해 강소기업을 육성하겠다는 것이다. 이 자리에서 한수원 등 원전 공공기관들은 원전해체 준비현황과 연구개발 전략 및 지원프로그램 등을 소개했다.

이는 정부가 고리 1호기 해체를 시작으로 관련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든다는 방침을 세웠지만, 아직 보유하지 못한 기술이 적지 않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산업통상자원부는 상용화기술 58개 중 7개에 대해 단계적으로 개발하고 있으며, 2021년까지 이를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원전해체는 △영구정지 △해체준비 △제염 △절단 및 철거 △폐기물처리 및 환경복원 등의 순서로 이뤄지며, 즉시해체 방식과 지연해체 방식이 있다. 두 방식 모두 원전 정지 이후 원자로 내 혁연료 냉각을 기다렸다가 사용후 핵연료를 떼어낸다는 점은 같다.

그러나 즉시해체는 단기간 내 원전 내 관련설비 일체를 제거하고 부지 복원까지 15년 가량 소요되는 반면, 지연해체는 시설을 안전하게 관리하면서 제염 등을 통해 오염준위를 낮추는 대신 60여년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된다.

즉시해체는 부지를 조기에 재사용할 수 있고 비용이 감축되는 등의 장점이 있으나, 상대적으로 작업자의 피폭 및 방사능 유출 우려가 높고 차폐·원격제어장비 등이 필요한 것이 단점으로 꼽힌다.

[미디어펜=나광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