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 노조가 지난해 7월 미국 샌프란시스코공항에서 발생한 아시아나 항공기 착륙 사고에 대한 조속한 행정처분을 내려달라는 내용의 탄원서를 국토교통부에 제출하면서 항공업계의 따가운 눈총을 받고 있다.

대한항공 노조는 지난 29일 국토부에 탄원서를 제출하고 샌프란시스코 사고에 대한 강력하고 조속한 행정처분을 촉구했다. 또 강력한 행정제재는 과징금 납부가 아닌 운항정치 처분이 돼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를 두고 항공업계에서는 아시아나에 대한 당국의 제재가 내려지지도 않은 상황에서 '아무리 경쟁사 관계라지만 상도의에 어긋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경쟁사 노조에서 상대 항공사의 징계를 요구하는 탄원서를 정부에 제출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이에 대해 대한항공 측은 "이번 탄원서 제출은 노조에서 별개로 한 것"이라며 선을 긋는 모습이다.

아시아나 측은 당황스러워하면서도 공식적인 입장 표명은 자제하고 있다. 자칫 경쟁사 노조를 상대로 공식적인 맞대응을 할 경우 사안이 확대되거나 국내 1, 2위 항공사의 진흙탕 싸움으로 비춰질까 조심스러워하는 눈치다.

이번 대한항공 노조의 탄원서 제출은 아시아나항공 노조가 국토부에 선처를 호소하는 청원서를 낸 데 대한 대응 성격인 것으로 보인다.

아시아나항공 노조는 사과와 함께 막대한 국익 손해와 고객불편을 이유로 처분 수위를 낮춰달라는 청원서를 지난 25일 국토부에 제출한 바 있다. 국토부에 따르면 아시아나는 인천∼샌프란시스코 노선에 대해 최대 90일까지 운항정지 처분을 받게 된다.

하루에 1차례씩 운영하는 인천~샌프란시스코는 최근 3년간 연평균 17만3000명이 이용하고 탑승률이 85.8%에 이르는 '알짜노선'이다.

3개월 운항정지 처분이 내려질 경우 3개월간 약 300억원의 매출손실은 물론, 외국항공사와 대한항공에 고객들을 뺏겨 판매망이 와해돼 막대한 손해를 볼 것으로 예상, 아시아나는 울상을 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