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월성 3호기/사진=연합뉴스 |
[미디어펜=나광호 기자]원자력안전위원회가 경북 경주 지역에 위치한 월성 원자력발전소 부지 내에 사용후핵연료 단기저장시설(맥스터) 7기 추가 건설을 승인했으나, 착공으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
30일 한국수력원자력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기준 맥스터와 캐니스터 등 건식저장시설에는 32만1960다발이 저장됐다. 이는 월성 2·3호기에서 3480다발이 운반된 데 따른 것으로, 저장용량의 97.6%가 채워진 상황이다.
이같은 추세로 보면 맥스터는 내년 11월 포화상태에 이를 전망으로, 건설에 19개월 가량 소요된다는 점에서 늦어도 오는 4월에는 '첫 삽'을 떠야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만약 적기에 설비가 지어지지 못할 경우 월성 2~4호기도 폐쇄결정이 내려진 월성 1호기의 뒤를 따르게 된다. 이 때문에 한수원은 2016년 4월 원안위에 추가 건설 허가를 신청한 바 있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지난 10일 맥스터 추가시설에 대해 승인을 했다.
하지만 사용후핵연료 재검토위원회의 여론 수렴 등 공론화 과정이 난항을 겪으면서 우려를 낳고 있다. 33명의 전문가 검토그룹 중 3분에 1에 달하는 11명이 보이콧을 선언했을 뿐 아니라 경북 경주시 축조신고서 승인을 비롯한 행정 절차가 진행돼야 한다는 것이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울산본부와 탈핵울산시민공동행동 및 동경주대책위원회 등이 재검토위원회 해체 및 실행기구 해산을 요구하는 것도 걸림돌도 꼽힌다. 이들 중 일부는 '탈핵버스'를 운용하기도 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
|
|
▲ 한수원 월성원자력본부 중수로 원전 및 건식저장시설 사용후핵연료 저장현황(단위 : %)/자료=한국수력원자력 |
반면 경주시 원전범시민대책위원회 등은 월성지역 주민의견수렴의 분리를 비롯한 방안을 통해 재검토위원회의 결정 속도를 높여야 한다고 촉구하고 나섰다. 재검토 절차 지연에 따른 월성 원전 운영 차질로 지역경제에 피해가 발생하면 위원회에 책임소재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월성원전 지역실행기구의 구성과 의견수렴에 있어 타지역 주민의 참여는 있을 수 없으며, 지역 내 시민단체 의견도 공식채널인 지역실행기구를 통해 접수된 것에 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경주지역은 원전 5개 지역 중 가장 먼저 실행기구를 출범시켰다.
주낙영 경주시장도 이같은 내용의 공문을 성윤모 산업부 장관과 정정화 재검토위 위원장에게 보낸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 관계자는 "중수로 모델인 월성 원전의 경우 연료를 매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경수로 대비 사용후핵연료 배출량이 많다"면서 "저장시설을 마련하지 못해 멀쩡한 발전소를 멈추게 된다면 전력 공급안정성과 지역경제를 비롯한 피해가 막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1호기 중단으로 7000억원의 혈세가 매몰된 데 이어 추가적인 국고 손실도 불가피하다"며 "월성 원전 가동중단은 장기적으로 우리나라의 핵무장도 막는 길"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원전에서 나온 사용후핵연료는 습식저장시설로 이송, 3~5년 가량 열을 식힌 후 건식저장시설로 옮겨진다. 또한 맥스터의 설계수명이 50년이라는 점에서 외국에서는 이미 영구저장시설을 조성하거나 이를 위한 절차가 진행되고 있다.
[미디어펜=나광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