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인한 세계 경제적 피해가 최대 191조원에 이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는 지난 2003년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사태보다 4배 높은 수치다.
1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워릭 매키빈 호주국립대 경제학 교수는 신종 코로나 확산에 따른 세계 경제 피해가 사스 사태 당시 400억달러(약 48조원)의 3~4배인 1600억달러(약 191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매키빈 교수는 "우리가 사스 사례에서 목격한 국내총생산(GDP) 손실의 대부분은 중국의 경기 둔화 때문"이라며 "따라서 중국의 둔화가 훨씬 더 크다면 손실은 수십억달러 더 커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과거 사스 사태보다 경제적 피해가 큰 이유는 그간 중국이 글로벌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졌기 때문이다. 중국이 세계 경제 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3년의 4배인 17%에 이른다. 또 현재 중국은 자동차와 반도체에서 세계 최대 시장이며 여행, 의류, 직물의 최대 소비국이다.
다른 경제 전문가들도 비슷한 전망을 내놓고 있다.
블룸버그 산하 경제연구소인 블룸버그 인텔리전스는 지난달 30일 신종 코로나 확산으로 중국의 올해 1분기 GDP 성장률은 1992년 분기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가장 낮은 4.5%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 뿐만 아니라 한국, 홍콩, 일본 등의 성장률이 하락하고 미국, 영국, 독일 등도 치명타를 입을 것으로 관측됐다.
기업들은 중국 보건당국이 바이러스 확산을 막아 조만간 정상 영업으로 복귀하기를 바라지만 최악의 경우 신종 코로나가 유통망과 경영 계획을 완전히 파괴할 가능성에도 대비하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은 보도했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