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지난해 40‧50대 비자발적으로 퇴직자 수가 5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1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추경호 의원실이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의 '연도별 퇴직자(12월 조사 기준) 현황'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40·50대 비자발적 퇴직자는 48만9천명으로 파악됐다. 이는 지난 2014년 55만2천명을 기록한 이후 최대 규모다.
통계청은 이직 사유를 총 11개 문항으로 조사하는데 이 가운데 ▲ 직장의 휴업·폐업 ▲ 명예·조기퇴직, 정리해고 ▲ 임시 또는 계절적 일의 완료 ▲ 일거리가 없어서 또는 사업 부진 등 4개 항목을 '비자발적 퇴직'으로 분류한다.
개인·가족적 이유, 육아, 가사, 심신장애, 정년퇴직·연로, 작업여건(시간·보수 등) 불만족 등 6개 항목은 '자발적 퇴직'으로 분류한다.
지난해 전체 비자발적 퇴직자는 2만8000명 줄어들었지만 40대·50대는 3만2000명이 늘어난 가운데 40대 비자발적 퇴직자는 18만7000명으로 전년보다 1만명 넘게 늘었다.
50대 비자발적 퇴직자는 30만2000명으로 2014년 이후 5년 만에 다시 30만명 대로 늘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