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개강을 미루고 강의도 온라인으로 대체한 대학이 증가하면서 그에 따른 부작용이 잇따르고 있다.
대학 측의 이런 조치로 학생들이 수업권 침해 등 피해를 호소하며 '등록금 반환'을 요구하고 나선 것이다.
앞서 대부분의 대학은 정부 권고에 따라 개강을 1~2주 연기했다. 그러나 감염이 빠르게 확산되며 교육부는 개강 이후에도 2주간은 집합 수업을 자제하고 온라인 수업으로 대체하라는 권고를 추가로 내렸다.
그러자 대학생들 사이에서는 "사이버대학이냐"는 불만이 쏟아지며 등록금 환불 주장이 커지기 시작했다. 개강 연기 조치로 수업일수가 감소했을 뿐 아니라 학교 시설을 제대로 이용하지 못하는 만큼 등록금을 돌려받아야 한다는 주장이다.
|
 |
|
▲ 서울의 한 대학 기숙사 전경(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사진=미디어펜 |
전국 27개 대학 총학생회로 구성된 전국대학학생회네트워크(전대넷)이 지난달 27일 1만 2000여명을 상대로 한 설문 조사 결과를 보면 '개강 연기 및 온라인 수업 대체 과정에서 등록금 반환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 중 83.8%가 '매우 필요하다' 또는 '필요하다'고 답했다.
그러나 대학은 학생들의 요구를 전적으로 받아들기는 힘들다는 입장이다.
한 대학 관계자는 "등록금에는 수업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학적 유지를 위한 행정 서비스와 수업 연구에 대한 투자 비용 등이 포함된다"며 "대학은 원가 회계 개념이 잘 정리돼있지 않아서 환불한다 해도 '적정 금액'에 대한 논란이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대학 관계자는 "'예체능이나 이공계 등 실기 수업 위주로 이뤄지는 학과의 경우 온라인 강의만으로 부족하다'는 학생들의 의견은 일이 있다"면서도 "다만 지금은 방역에 최선을 다해야 하므로 먼저 코로나19 사태를 지켜보고 추후 정부와 학생, 학교가 함께 이 문제를 신중하게 토론해야 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한편, 일부 대학은 수업의 질을 우려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방학 기간 중 '집중 학기 이수 제도'를 전면 도입할지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대학 측은 "코로나19 확산세가 계속된다면 온라인 강의 수도 많아질 것으로 보여 보충 수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