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동은 기자] 기업은행이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등에 대한 대규모 자금지원에 나서며 국책은행으로서 역할을 다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이 코로나19 확산으로 경기침체가 장기화됨에 따라 부실대출의 가능성 등에 대한 우려로 기업은행의 리스크관리가 중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
|
|
▲ 사진=IBK기업은행 |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기업은행 등 국책은행들이 코로나19 피해 중소기업들에게 신규대출과 대출만기 연장·금리우대 등 긴급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이 경기 변동에 취약한만큼 기업은행의 리스크 관리가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기업은행은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1%대 소상공인 초저금리 대출 규모를 기존 1조2000억원에서 5조8000억원 규모로 늘렸으며 신속한 금융지원을 위해 15개 지역신용보증재단의 상담, 서류접수, 현장실사 업무를 대행하고 있다.
기업은행의 지난해 중소기업대출 잔액은 162조7000억원으로 전체 대출의 78.9%를 차지했다. 국내 중소기업 대출 점유율은 22.6%에 달해 선두 자리를 지키고 있다. 기업은행의 중소기업대출 업종별 포트폴리오는 제조업 57.3%, 도소매업 15.2%, 부동산임대업 11.6%, 건설업 3.0%, 음식숙박업 1.4% 순이다.
하지만 코로나19의 확산으로 기업은행의 주요 지원대상인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피해가 지속되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지난 26일 발표한 ‘코로나19 관련 긴급 중소기업 피해실태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관련 중소기업들의 64.1%가 코로나19로 타격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36.9%가 코로나19 사태가 계속될 경우 감내할 수 있는 기간은 1~3개월이라고 응답했다.
이에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경기변동에 취약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부실 대출로 이어져 연체율이 상승하는 등 기업은행의 건전성이 악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지난해 기업은행의 건전성 지표인 연체율과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은 각각 0.47%와 1.28%를 기록하며 개선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업종별 연체율은 제조업 0.61%, 건설업 0.41%, 음식숙박업 0.37%, 도소매업 0.35% 순이었다.
최정욱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정부의 민생·금융안정 패키지 프로그램은 자영업자 등에서 시작된 충격이 금융시장을 통해 취약 부문으로 이전되는 것을 막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을 것이다”면서도 “자영업자 대출의 경우 신용대출보다 담보대출 비중이 높기 때문에 은행입장에서는 회수율 측면에서 최종손실 발생 가능성은 우려보다 높지 않을 것이다”고 설명했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 대한 대출을 늘리면서 건전성에 대한 우려도 있다”면서도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국책은행으로서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역할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이동은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