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정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의 신용회복을 위해 연체 채권을 최대 2조원어치 매입할 방침이다.
|
 |
|
▲ 문재인 대통령/사진=청와대 |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문재인 대통령이 주재하는 비상경제회의에서 정부는 향후 취약계층 금융 부담 완화 방안으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신용회복 지원 방안을 논의한다.
우선 코로나19 피해자가 신용회복위원회(신복위)의 신용회복 지원 대상에 포함된다.
이에 따라 코로나19 피해자는 신복위를 통해 원금 상환 유예, 채무 감면 등에서 우대된 채무조정을 받는다.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는 최대 2조원 규모로 코로나19 피해 소상공인과 개인 채무자의 연체 채권을 사들여 상환 유예와 장기 분할 상환 등의 방식으로 채무조정을 지원할 예정이다.
우선 캠코의 자체 재원을 통해 코로나19 사태 이후에 연체가 발생한 채권을 중심으로 매입하고, 필요하면 추가 재원 마련을 검토할 계획이다.
금융회사의 자체 채무조정이나 신복위 채무조정 등 기존 감면 제도의 틀을 훼손하지 않는 수준에서 채권 인수를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연체 채권 매입 대상 금융기관을 특정하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소상공인 등 취약 계층이 주로 제2금융권을 이용한다는 점을 고려해 전 금융권의 연체 채권을 사들이는 것이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