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기업 이스타항공 인수사 제주항공, JAS 보유해 중복투자 꺼릴 가능성↑
전국연합노동조합연맹 "특별고용유지·전국 공항지역 고용위기지역 지정 촉구"
독일, 자국 항공산업 무제한 지원…"금융 및 대출 지원·직접보조금·세금 면제 검토해야"
   
▲ 이스타포트의 지상조업을 받는 이스타항공 여객기./사진=이스타항공


[미디어펜=박규빈 기자]공항 지상조업사 이스타포트가 모기업 이스타항공의 경영난에 계약 관계가 끊겼다. 관련 업계에서는 항공 지상조업사 줄폐업론까지 급부상하고 있고, 정부가 해외 사례를 참고해 적극 지원해야 한다는 주장이 고개를 들고 있다.

15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이스타항공은 전체 임직원 중 1600여명 중 750여명을 감축하는 등 대규모 구조조정에 나섰다. 이런 가운데 지난 10일 지상조업 자회사인 이스타포트 전 지점과의 계약 또한 해지한다는 방침이 밝혀졌다. 이스타항공의 자금사정이 악화돼 더 이상 버틸 수 없는 지경에 이른 것에 연유한다.

현 시점에서 이스타포트의 차후 행보는 매우 불투명한 상태다. 이스타항공이 오는 29일 M&A 마지막 단계를 거쳐 제주항공에 인수되지만 이미 지상조업사 JAS가 존재해 중복 투자를 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같은 이유로 이스타포트 내부가 술렁이고 있다.

소속 조종사들과 이스타포트 직원들 사이에선 벌써부터 폐업설이 파다하다. 직원 300여명을 해고한다고도 알려져 폐업설을 뒷받침한다. 따라서 이스타포트 임직원들의 고용 안정도 담보할 수 없는 상황이다.

국내 지상조업사들은 이스타포트의 사례가 남 일 같지 않다는 입장이다. 지난 3월 3일 한국공항·아시아나에어포트·샤프에비에이션케이·스위스포트코리아·제이에이미스 등 지상조업사들은 비상대책위원회 명의의 제2차 공동청원서를 통해 "수백억원의 영업손실이 예상되는 업계는 당장 직원 급여도 주기 어려울 정도로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다"고 호소한 바 있다.

   
▲ 대한민국 조종사 노동조합 연맹·전국연합 노동조합 연맹 등 항공업계 노조가 지난 14일 존페 위기에 놓여있음을 호소하며 청와대 앞 분수대 광장에서 공동기자회견을 개최한 모습. /사진=박규빈 기자


이와 관련, 지난 14일 청와대 앞 분수대 광장에서는 항공업계 노동조합 공동 기자회견이 개최됐다. 이날 지상조업사·협력사 모임인 전국연합노동조합연맹은 "원청인 대형 항공사는 유급 휴업·휴직을 진행하고 있으나, 같은 항공산업임에도 경영환경이 열악한 지상조업사·지상조업협력사 등 하청업체 직원들은 제대로 된 수당을 받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무급 휴직·휴가로 생계를 위협받고 있는 실정"이라고 호소했다.
 
연맹은 "노동조합의 존재 유무와 무관하게 항공산업 협력업체들은 이미 사측의 요구로 부당해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위법한 무급휴직·무급휴가를 강요 받고 있다"고 부연했다. 아울러 "근로자들의 생존권이 보장되도록 신속히 전국 공항지역에 대해 '고용위기지역' 지정을 요청한다"고 당부했다.

조상훈 한국공항 노동조합 위원장은 "정부는 항공사 지원에만 초점을 맞추는데, 정책의 기본 방향부터 잘못됐다"고 지적했다. 조 위원장은 "현행법상 특별고용유지 대상은 300인 이하로 규정돼 있다"며 "지상조업사·협력사들 중엔 이에 해당하는 곳이 하나도 없어 2차 벤더사들은 직원들로 하여금 실업급여라도 타도록 직원들을 권고사직 시키는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와 같이 지상조업계에선 벌써 2000여명이 잘린 상태인데, 5~6월까지 정부 지원이 뒤따르지 않는다면 해고자 수는 더욱 늘어날 것"이라며 "항공업의 씨가 마를 것이 명약관화해 한시적 해고 제한법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임국권 아시아나에어포트 노동조합 위원장은 "지난 3월부터 항공업 종사자들은 고용 불안 걱정에 빠져있다"며 "하루 빨리 항공산업의 정상화가 가능해지도록 정부 차원의 많은 지원이 있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정부 당국은 지상조업사에 대한 지원책에 대한 검토를 이제서야 시작해 너무 안일하게 대처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터져 나온다.

지난 8일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은 항공기 급유·하역과 기내식 업체를 위시한 지상조업사 등 항공업계 간담회에서 대책 마련 요구 등을 청취했다. 그로부터 5일 후인 지난 13일, 이 장관은 "지상조업사의 특별고용지원업종 추가 지정을 검토하겠다"고 했고, 현재까지 묵묵부답이다. 한시를 다투는 상황에서 고용부가 사실상 손을 놓고 있었다는 비판이 제기되는 배경이다.

이 뿐만이 아니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지난달 31일 "항공업을 포함한 대기업들과 대주주의 자구 노력이 있어야 한국산업은행·한국수출입은행 등 국책은행 자금을 투입하겠다"고 발언해 전문가들로부터 한가롭다는 힐난을 듣기도 했다.

반면 해외의 경우 정부 차원의 자국 항공업 지키기 노력이 필사적이라는 평가다.

한태웅 에어부산 조종사 노동조합 위원장은 "항공업은 국가기간산업이기에 정부가 금융지원을 해서라도 지켜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위원장은 "미국 74조원·프랑스 60조5000억원·싱가포르 16조5000억원 등 정부 차원의 자금 지원 계획이 있고, 심지어 독일 연방정부는 무한대"라며 "해외에서는 금융 및 대출 지원·직접보조금·세금 면제까지 전방위적인 방책이 잇따르고 있는 형국"이라고 소개했다.
[미디어펜=박규빈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