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중국발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우한폐렴) 창궐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2주 더 연장되어 5월 5일까지 이어진다.
지난 2월말 정부와 각 광역단체 주도로 시작된 '사회적 거리두기'는 교회 종교시설 등 4대 밀집시설에 대한 방역지침 준수명령과 운영중단 강력권고로 대표된다.
지금까지 두달간 정부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국민들에게 강조하면서 중국발 코로나19를 잡기 위한 방역 대책을 유지해왔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19일 이와 관련해 "내일부터 5월 5일까지는 지금의 사회적 거리 두기의 근간을 유지하며 일부 제한을 완화하겠다"며 "방역 측면에서는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지속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지만,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절충점을 찾아야 한다"고 밝혔다.
|
 |
|
▲ 중국발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우한폐렴) 창궐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2주 더 연장된다./사진=청와대 |
특히 정 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 영상회의실에서 가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종교시설 등 4대 밀집시설에 대해 현재 방역지침 준수 명령을 유지하되, 운영중단 강력권고는 해제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자연 휴양림 등 위험도가 낮은 실외 공공시설은 준비되는 대로 운영을 재개하고, 야외 스포츠도 무관중 경기와 같이 위험도를 낮출 수 있다면 가능할 것"이라며 "필수적 자격시험, 채용시험 등은 방역수칙의 철저한 준수를 조건으로 제한적으로 시행하겠다"고 설명했다.
또한 정 총리는 "등교와 개학의 경우 전반적 상황을 보며 순차적으로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며 "현재 수준의 안정적 관리가 계속 이뤄진다면 5월 6일부터는 '생활 속 거리두기'로 이행하겠다"고 언급했다.
이어 "안심할 단계는 절대 아니다. 무증상 전파 위험이 사라지지 않았고 지난 1주간 부쩍 늘어난 사회적 접촉 영향도 예의주시해야 한다"며 "사회적 거리두기 강도를 조절하는 것은 성공을 장담할 수 없다. 섣불리 완화했다가 되돌아간 해외 사례도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