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로 구직자의 약 40%가 입사 전형에 합격했음에도 출근하지 못하고 있다는 설문조사가 발표됐다.
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은 구직자 2052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로 채용 취소 또는 입사 연기를 통보받은 경험'을 조사한 결과 40.7%가 '있다'는 답변을 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들 가운데 '채용 연기'를 통보받은 구직자가 58.7%로 가장 많았으며 '채용 취소, 연기 둘 다'(22.4%), '채용 취소'(18.9%) 순서를 보였다. 회사 측은 합격 후 일방적으로 통보하는 것이지만 주로 문자 메시지로 공지를 했다.
통보 방식은 문자(51.7%, 복수응답)가 가장 많았고, 전화(28.3%), 이메일(19.6%), 대면 통보(6.9%), 카카오톡 등 SNS 메신저(6.3%) 등의 순서를 나타냈다. 심지어 응답자 10%는 '회사에서 연락이 없어 먼저 문의했다'고 답변했다.
채용 취소나 연기를 경험한 구직자의 78.3%는 사유를 안내받았다고 답변했다. 사유는 '코로나19로 경영상황 악화'(59.1%, 복수응답)가 1위를 차지했으며 '일정이 무기한 연기돼서'(46.3%), '기존 인원도 감축 예정이어서'(11.4%), '해당 사업 혹은 업무가 없어져서'(6.4%) 등의 순서가 이어졌다.
구직자들은 해당 사유에 대해 '회사 입장에서는 어쩔 수 없다'(48.7%)는 의견과 '일부 납득하지만 억울하다'(47.9%)는 의견이 다수를 이뤘다.
사측의 일방적인 채용 취소 통보에도 응답자의 88.7%는 별다른 대응을 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반면, '노동청 등에 신고'(1.4%), '노무사 등과 상담'(1.4%) 등과 같이 적극적인 대응한 비율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