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전략폭격기 B-1B 랜서의 동아시아 전개 빈도 증가 관련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빈센트 브룩스 전 한미연합사령관이 최근 '죽음의 백조'라 불리는 미국 전략폭격기 B-1B 랜서의 동아시아 전개 빈도가 늘어난 것을 두고 "북한과는 무관하다"며 선을 그었다.

2일 미국의 소리(VOA) 보도에 따르면 브룩스 전 사령관은 "전략폭격기의 움직임과 북한 상황을 연계시키는 것은 오해와 추측에서 비롯됐다"면서 "경험을 토대로 비춰보면 그렇게 연결되지는 않는다"라고 지적했다.

브룩스 전 사령관은 "남북 간 긴장 완화 노력의 일환으로 미국은 지난 2018년 봄 이후 한반도에 전략자산을 전개하지 않았다"면서 "현시점에서 이런 방침이 갑자기 바뀐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북한과의 상황과 관련해 향후 전략폭격기 전개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매우 빠른 시간 내에 관련 자산을 투입할 수 있지만 최근의 움직임은 북한과는 관계가 없다"라고 부연했다. 또 최근 한반도 주변에서 미군 정찰자산들이 빈번히 목격되는 점에 대해서도 "'정보 수집'의 일환이라며, 항적을 공개적으로 노출하는 것은 대북 억지 신호 발산이 아닌, 불필요한 긴장 조성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라고 덧붙였다.

버나드 샴포 전 주한미8군사령관도 이날 VOA에 "B-1B 전폭기의 역내 전개는 미 공군 전략 재편 과정에서 실시하고 있는 훈련"이라면서 "김 위원장의 건강 이상설이 불거진 시점과 우연히 겹친 것일 뿐"이라고 분석했다.

지난 1일 민간의 항공 추적 웹사이트 '에어크래프트 스폿'에 따르면 미국 전략폭격기 B-1B 랜서 4대가 2대씩 편대를 이뤄 미국 텍사스 다이스 공군기지를 출발해 일본 오키나와 인근 동중국해를 거쳐 괌으로 비행했다. 같은 날 미국 공군 정찰기 RC-135W도 우리나라 경기도 광주·인천 상공을 비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전략폭격기의 움직임이 최근 제기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건강이상설과 북한 내부 상황과 관련이 있다는 추정이 나오기도 했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