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국내 노동시장에서 기업의 인력 수요 역시 크게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지난 3월 공공 취업 지원 포털 '워크넷'을 통한 기업의 신규 구인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24.5%(4만6982명) 급감한 14만4886명으로 확인됐다.

구인 규모는 기업이 인력 채용을 위해 워크넷에 등록한 구인 인원을 합해 계산한다. 월별로 집계되는 워크넷 구인 규모는 등락을 반복하지만, 대체로 증가하는 추세다.

한국고용정보원은 코로나19 사태가 3월 구인 규모 급감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경영난과 불확실성 등으로 기업은 줄줄이 채용을 중단하거나 연기하는 상황이다.

신규 구직 건수는 38만1980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26건(0.4%) 늘어났다. 노동시장의 인력 공급 측면에서는 큰 변화가 없는데 수요가 급감했다.

구인 감소의 영향으로 지난 3월 워크넷을 통한 신규 취업도 줄었다. 이 기간 신규 취업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24.3%(4만3226건) 감소한 13만4368건으로 확인됐다.

지난 3월 구인 규모를 업종별로 보면 숙박·음식업에서 3천110명(54.1%) 급감했다. 학원을 포함한 교육서비스업은 1896명(42.0%), 도·소매업은 3543명(28.6%) 줄었다. 코로나19의 확산세 속에 빚어진 대면 접촉 기피 현상과 사회적 거리 두기의 시행으로 직격탄을 맞은 업종들이다. 제조업의 구인 규모도 1만8천677명(25.7%) 감소했다. 산업의 중추인 제조업에서도 인력 수요가 크게 위축된 것이다.

김준영 고용정보원 고용동향분석팀장은 "지난 3월 구인 규모 급감은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경기 위축의 영향을 주로 받은 것으로 보인다"며 "대면 서비스 업종을 중심으로 눈에 띄게 구인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워크넷 통계는 노동시장 분석 자료로 쓰이지만, 워크넷 밖에서 이뤄지는 구인·구직 등이 제외되기 때문에 노동시장의 전반적인 동향을 보여주는 데는 한계가 있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