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LF·라임·디스커버리 사태 등 금융사고로 소비자 불신↑…은행권 소비자보호 강화
[미디어펜=이동은 기자] 지난해 해외금리연계 파생결합펀드(DLF)와 올해 라임자산운용 사태에 이어 디스커버리자산운용 환매 연기 등 잇따른 금융사고가 터지면서 은행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가 계속해서 떨어지고 있다. 이에 은행권은 뒤늦은 후속 조치로 소비자보호를 위한 조직개편에 나서고 있다.

   
▲ ‘기업은행 디스커버리펀드사기피해 대책위원회’가 26일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앞에서 피해자 구제방안 마련을 촉구하며 3차 집회를 열고 있다/사진=미디어펜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들이 신뢰 회복과 소비자보호 강화에 초점을 맞춘 조직 개편을 단행하고 있다. 대규모 원금손실 피해가 발생한 상황에서 뒤늦게 사태 수습에 나서는 모습이다.

최근 디스커버리펀드 논란을 겪고 있는 IBK기업은행은 전날 금융소비자보호그룹을 기존 소비자브랜드그룹에서 분리했다. 소비자보호총괄책임자(CCO)의 독립성과 금융소비자 보호를 강화하기 위함이다. 그룹 산하에는 사전 조치를 위한 ‘금융소비자보호부’와 사후 관리를 위한 ‘금융소비자지원부’로 분리 운영한다.

아울러 △상품선정 프로세스 강화 △내부통제부서 간 합동 점검을 통한 심의 고도화 △모니터링 정교화 △현장지원 강화 등의 조치를 통해 상품판매 전 과정에서 소비자보호 프로세스를 강화한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고위험 투자상품 판매 후 기초자산 하락이나 손실구간 진입, 민원 발생 등의 리스크 요인을 정기 모니터링하고, 투자 상품 전문 인력 양성과 판매 역량 강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DLF 사태의 당사자인 우리은행과 하나은행도 앞서 금융소비자보호 강화를 위한 조직개편을 실시했다. 하나은행은 지난해 12월 겸직 체제로 운영하던 소비자보호그룹 그룹장과 손님행복본부 본부장을 독립 배치하면서 소비자보호 관련 부서를 격상시켰다.

우리금융지주는 지난 2월 그룹차원의 금융소비자보호 ‘컨트롤 타워’ 역할을 맡는 금융소비자보호조직을 지주 내에 신설했다. 우리은행 역시 기존의 소비자브랜드그룹을 금융소비자보호그룹과 홍보브랜드그룹으로 재편했다. 신설된 금융소비자보호그룹은 은행장 직속의 독립 조직으로 운영해 고객보호 업무의 전문성과 독립성을 강화했다.

신한은행은 올해 초 고객 보호 업무를 총괄하는 ‘소비자보호그룹’과 고객 민원대응을 전담하는 ‘소비자지원부’를 신설했다. 여기에 전국 지역본부에 ‘금융소비자보호 오피서’를 투입해 소비자 보호와 관련한 과제를 점검하고 영업점에서 발생한 고객의 불만사항 해결을 지원토록 했다. 

KB국민은행도 지난해 소비자보호 전담본부를 신설하고 기존 소비자브랜드전략그룹은 ESG총괄조직으로 재편했다. 

은행권 관계자는 “DLF, 라임 등 대규모 금융사고가 발생하면서 은행에 대한 고객의 신뢰가 떨어지고 있다”며 “은행들이 신뢰 회복을 위한 조직 개편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이동은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