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까지 연비 로드맵 완성, 주요국 연비 규제 선제 대응
파워트레인 개발, 경량화, 친환경차 투입으로 연비 향상 기대

현대·기아차가 획기적 연비 향상에 전사 역량을 집중한다.

현대·기아차는 6일 기업의 평균연비를 2020년까지 현재보다 25% 향상시키는 것을 핵심으로 한 ‘2020 연비향상 로드맵’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 정몽구 회장/현대자동차

현대·기아차는 이를 위해 ▲차세대 파워트레인 개발 ▲주요 차종 경량화 ▲친환경차 라인업 확대 등 3대 방안을 성공적으로 추진함으로써 갈수록 치열해지는 글로벌 연비경쟁에서 확실한 우위를 확보할 방침이다.

정몽구 회장은 올해 상반기 “2020년까지 세계 최고수준의 연비 경쟁력을 확보하라”고 지시했고, 현대·기아차는 ‘차세대 파워트레인 TFT’ 등을 중심으로 단계별 연비 향상 목표와 실행방안을 수립했다.

현대·기아차는 차세대 파워트레인 개발과 관련, 현재 보유중인 10종의 엔진 라인업 중 70%를 차세대 엔진으로 대체한다.

이를 위해 신규 가솔린 엔진과 터보엔진을 개발해 기종수를 획기적으로 확대하고 현재 사용되고 있는 누우엔진(중형)과 카파엔진(소형)의 개선 모델을 선보여 가솔린 엔진의 라인업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인정받은 R엔진 등을 대체할 신형 엔진도 등장한다.

엔진의 라인업 강화와 함께 차량 연비 향상의 핵심 요소인 변속기 효율 개선 및 다단화에도 심혈을 기울인다.

기존 전륜6단, 후륜8단 변속기의 전달효율을 개선하고, 현재 8단이 최대인 후륜 변속기도 다단화로 변속기 기종도 확대한다.

앞서 현대·기아차는 1.6리터 GDi 엔진과 4.6리터 V8 엔진이 ‘세계 10대 베스트 엔진’에 4년 연속 선정됨으로써 파워트레인의 우수성을 입증 받은 바 있다

이러한 변화로 현대·기아차는 가솔린엔진은 11~13%, 디젤엔진은 16~18%, 변속기는 2~9%의 연비향상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초고장력 강판 비율을 올해 33~52%에서 2018년 48~62%로 대폭 끌어올려 ▲차량 경량화에도 집중할 계획이다.

   
 

초고장력 강판은 차량 안전성을 증대시키면서도 차체 중량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는 차세대 강판으로 최근 출시한 신형 쏘나타, 신형 제네시스, 신형 쏘렌토의 초고장력 강판 적용 비율을 52% 수준으로 높였다. 이어 고강도 알루미늄 휠, 발포플라스틱 도어내장재 등 경량 소재 적용도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현대·기아차 관계자는 “초고장력 강판과 경량 소재 확대 적용을 통해 주요 차종 중량을 평균 5% 이상 낮춰 연비 경쟁력을 향상 시키겠다”고 말했다.

현대·기아차는 연비향상을 위한 노력과 함께 ▲친환경차 라인업 강화에도 박차를 가한다. 내년 중 준중형 하이브리드 전용모델과 쏘나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출시에 이어 전기차와 수소연료전지차 라인업도 보강된다.

이와 함께 2020년까지 전 차의 친환경 라인업을 확대키로 하고, 이를 위한 시스템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현대·기아차는 ‘2020 연비향상 로드맵’의 달성으로 최고수준의 연비 경쟁력 확보는 물론, 2020년 기준 우리나라와 미국, 유럽 등 주요국의 연비규제를 여유 있게 선제 대응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현대·기아차 관계자는 “향후 연비가 전세계 시장에서 현대·기아차의 확실한 강점으로 각인될 수 있도록 ‘2020 연비향상 로드맵’을 뛰어넘는 전사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김태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