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해외유입 확진자로 인한 지역사회 감염 확산 차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28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최근 2주간(7월 12∼25일) 국내 신규 확진자 수는 감소세를 보였다. 그러나 해외유입 확진자 수는 31.4명으로 직전 2주(19.6명)보다 1.6배 늘었다. 국내 확진자 발생을 해외유입이 주도하고 있는 셈이다.
특히 부산항 정박 러시아 선박의 집단감염이 내국인 수리공을 거쳐 이 수리공의 동거인에까지 퍼지는 '3차 감염'까지 발생하면서 지역감염 우려가 고조되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이달 13일부터 방역강화 대상 국가에서 들어오는 모든 외국인에게 '음성 확인서'를 의무적으로 제출하도록 했다. 또 지난 27일 부터는 진단검사도 기존 1회에서 2회(입국후 3일 이내에 1번, 격리 13일째 1번)로 늘렸다.
여기에 최근 확진 비중이 높은 러시아를 방역강화 대상 국가로 추가 지정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현재 방역강화 대상 국가는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필리핀, 우즈베키스탄 등 6곳이다.
해외유입 외국인 확진자에 대해서는 현재 무상인 치료비를 단계적으로 부과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국내 의료체계에 대한 부담도 완화하고 '공짜 치료' 논란도 불식하겠다는 취지다.
한편, 지난 5월 이후 해외유입 확진자를 통한 지역 전파 사례는 이미 8건, 15명에 달한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