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연체율 상승 가팔라질 것…명목 연체율 아닌 실제 연체율 주목해야"
[미디어펜=김하늘 기자] 카드업계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인한 피해 고객들에 대한 금융 지원에 이어, 이번엔 집중호우 피해 고객들을 위해 특별금융지원에 나섰다. 

문제는 경기 악화에 따라 카드사들의 대출 연체율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코로나19 피해 소상공인 지원과 집중호우 피해 고객을 위한 이자상환 유예 조치가 끝나는 연말엔 연체율 상승이 가팔라질 것이란 우려다.

   
▲ 사진=미디어펜


7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KB국민카드, 삼성카드, 신한카드, 롯데카드, 하나카드, 현대카드 등 전업계 카드사 7곳은 집중호우로 피해를 본 고객을 대상으로 상환 유예, 연체금 감면, 대출금리 우대를 시행한다.

이들 카드사는 모두 피해지역 행정관청이 발급한 '피해사실확인서'를 제출한 고객을 대상으로 신용카드 결제대금 청구를 6개월간 유예해주기로 했다. 

각 카드사마다 신청 기간과 지원 대상이 되는 피해 발생 시점에 차이가 있으므로, 각사 웹사이트나 고객센터를 통해 확인해야 한다. 

문제는 경기 악화에 따라 카드사들의 대출 연체율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우리·하나카드 등 7개 전업카드사의 6월 카드론·현금서비스·리볼빙 포함 연체율은 평균 약 1.43% 수준이다.

카드사별로 △신한카드 1.87% △삼성카드 1.45% △KB국민카드 1.61% △현대카드 0.90% △롯데카드 1.75% △우리카드 1.46% △하나카드 1.76% 등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가 유입되기 전인 지난해 12월말 연체율이 평균 약 1.53%였던 것과 비교하면, 평균0.1% 상승한 수치다.

당시는 △신한카드 1.69% △삼성카드 1.46% △KB국민카드 1.59% △현대카드 0.86% △롯데카드 1.78% △우리카드 1.63% △하나카드 1.73%였다. 

카드대출 연체율은 코로나19가 확산한 이후 꾸준히 상승하다, 6월 잠시 주춤했다. 이는 정부가 14조원을 민간에 투입한 재난지원금 효과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또 분기별로 진행되는 부실 연체채권 상각 효과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금융사들은 연체가 지속돼 아예 받을 수 없을 것으로 판단되는 채권은 추심업체에 매각하는데, 매년 6월 말과 12 월말에 그 규모가 가장 크기 때문이다.

이에 업계에선 재난지원금이 모두 소진됐고, 상각효과도 없는 7월에 연체율이 다시 반등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여기에 금융당국이 9월말 끝나는 코로나19 피해고객 대상 대출만기와 이자유예 조치를 제2금융권까지 넓힐 것으로 예상되며, 업계의 하반기 건전성 부담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한 카드업계 관계자는 "힘든 시기 기업이 부담을 함께 짊어지는 것은 당연히 옳은 처사"라며 "다만 코로나19가 장기화되는 가운데 하반기까지 지금과 같은 상황이 유지된다면, 카드사의 상황 역시 장담할 순 없다"고 말했다.

업계 전문가 역시 카드사의 하반기 건전성이 악화될 우려가 크다고 진단했다.

서지용 상명대학교 경영학부 교수는 "코로나19·집중호우 피해고객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이자유예는 연체로 잡히진 않지만, 부실 여신으로 볼 수 있다"며 "명목 연체율이 아닌 실제 연체율에 주목해야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카드로 대출을 받고 있는 차주들은 대부분 은행보다 부실한 상황"이라며 "카드론이 전보다 늘어난 상황에서 만기 연장 등 금융지원이 이어진다면, 카드사들의 건전성이 상당히 위험한 수치에 다다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디어펜=김하늘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