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년간 긴 줄다리기 끝에 신한울원전 건설 관련 협상이 일괄 타결됐다.
|
 |
|
▲ YTN 방송화면 캡처. |
산업통상자원부는 21일 정홍원 국무총리, 조석 한국수력원자력 사장, 임광원 울진군수 등이 참석한 가운데 경북 울진군과의 신한울원전 건설협상이 타결됐다고 밝혔다.
1999년 울진군이 추가로 원전을 건설할 경우 기존의 원전부지를 활용해야 한다고 요구함에 따라 신한울원전 협상은 본격 시작됐다.
정부와 울진군은 2009년 원전 건설에 따른 정부 대안사업의 수를 8개로 줄이는 내용을 합의했지만 이후 양측은 대안사업 지원 규모 및 대안사업 주체 등을 놓고 팽팽한 신경전을 벌여왔다.
이날 합의에 따라 한수원은 8개 대안사업과 관련해 2800억원을 울진군에 지급하고 사업 수행주체를 울진군으로 결정했다.
8개 대안사업에는 자율형 사립고, 의료원 건설 등 울진군이 한수원 측에 요구한 지역종합사업 등이 포함됐다.
정 총리는 "이번 합의는 1999년부터 오랜 기간 어려운 협상 끝에 일궈낸 값진 성과로 그 의미가 매우 크다. 우리나라 에너지 수급과 지역 문제를 함께 풀어가는 '상생 발전의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처럼 국가적인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원전과 같은 시설을 유치하는 지역에 대해서는 그에 상응하는 인센티브가 있어야 한다"며 "앞으로도 정부 차원의 지원 노력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덧붙였다.
신한울원전 협상 타결 소식에 네티즌들은 "신한울원전 협상 타결, 15년이나 걸리다니" "신한울원전 협상 타결, 2800억원 대박" "신한울원전 협상 타결, 진짜 오래 걸렸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미디어펜=이상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