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까지 약 3300억원 투입
연구조직에서 실행조직으로 전환
|
 |
|
▲ 한수원이 25일 기존 연구중심 조직이었던 ‘방사선보건연구원’을 실행조직으로 전환, ‘방사선보건원’으로 개편키로 하고 현판식을 개최, 조석 한수원 사장(왼쪽 일곱번째)과 김소연 방보원장(오른쪽 일곱번째)을 비롯한 한수원 직원들이 방보원의 도약을 축하하고 있다/사진제공=한수원 |
한국수력원자력이 세계 최고의 방사선보건 전문기관을 육성하기 위해 오는 2025년까지 약 3300억원을 투입한다
한수원은 기존 연구중심 조직인 방사선보건연구원을 방사선보건원(방보원)으로 개편 실행조직으로 전환한다고 25일 밝혔다.
앞으로 방보원은 '국민안전'을 최우선으로 ▲방사선 비상의료 시스템 고도화 ▲원전 종사자 건강평가 확대 및 모니터링 강화 ▲국민안심형 방사선생명연구 기술가치 창출 ▲방사선보건에 대한 국내외 위상강화라는 4대 핵심과제와 15개 세부 전략과제를 실행하게 된다.
먼저 핵심과제 실현을 위해 각 원전본부 현장에는 '방사선 비상대응 의료조직(REMC)'이 내달 신설된다.
방사선 비상대응 의료조직은 전문의 1명과 간호사, 응급구조사 등 6명으로 구성되며 비상시 사고환자 초동의료 대응, 응급처치, 치료 및 피폭환자 후송을 담당하는 '현장 방사선비상 진료소'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 평상시에는 방사선방호검진과 정신상담 등 원전종사자에 대한 밀착형 건강관리가 시행된다.
방보원은 협력사 원전종사자의 건강관리를 위해 법적 검진 이외의 포괄적인 건강평가를 지원할 예정이다. 2015년 약 1000명을 시작으로 2018년에는 협력사의 모든 방사선작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이를위해 한수원은 국내 최고수준의 의료기관인 분당서울대병원과 '방사선 사고환자 치료체계 구축을 위한 공동 연구협약'을 체결하는 한편 프랑스 방사능방어및핵안전연구소(IRSN), 미국 국립암연구소(NCI-REB), 일본 방사선영향연구소(RERF) 등과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등 공동연구에 들어간다.
김소연 방보원장은 "지금도 세계적으로 우리 방보원의 수준을 높게 평가하고 있지만 이에 만족하지 않고 꾸준한 연구와 투자를 할 것”이라며 “2025년에는 세계 최고의 방사선보건 전문기관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설명했다.[미디어펜=정창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