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전날 여당 지도부와의 오찬 회동에서 '비선 실세의 청와대 국정개입' 의혹에 관하여 "찌라시에 나오는 이야기들"로 일축했다.

야당은 이에 반발하여 문건에 등장하는 정윤회 씨와 안봉근 이재만 정호성 청와대 비서관 등 12명을 검찰에 고발하거나 수사 의뢰했다.

현재 여야 간 ‘청와대 문건파동’ ‘비선 실세’ 공방은 격화되는 중이다.

여야는 8일 국회 본회의를 열어 각종 민생법안, 경제활성화 법안과 결의안 등을 처리할 계획이었지만, 이로 인하여 이날 본회의는 취소되었다.

결국 지난 100일간의 정기국회 레이스를 통한 입법 성과가 얼마나 어떻게 나올지는 단 하루 남은 9일 마지막 본회의에 달리게 되었다.

하지만 의정 상황은 점차 비관적으로 돌아가고 있다.

   
▲ 박근혜 대통령의 비선실세로 불리는 정윤회씨의 국정개입 의혹이 담긴 청와대 문건 유출자로 지목된 박관천(48) 경정이 5일 새벽 검찰 조사를 마치고 서울 서초동 중앙지방검찰청을 나서고 있다. 

당초 새누리당은 8일에서부터 9일까지 이틀 간의 본회의를 통해 300여 건의 계류 법안들을 처리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이는 사실상 어려워졌다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비상사태에 돌입한 새누리당은 새민년을 향해 정치 공세를 자제할 것을 강하게 주문했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8일 오전에 있었던 최고위원회 자리에서 “검찰 수사가 진행 중인 이 사건을 야당에서 다시 또 검찰에 고발하는 것은 이 일을 이용해서 여권을 뒤흔들려고 하는 의도로 볼 수밖에 없어서 과하다”라고 지적했다.

김 대표는 오히려 “청와대 문건파동은 검찰 수사에 맡겨두고 우리 국회는 경제활성화와 민생관련법안 심사와 처리라는 본연의 업무에 충실해야 한다”라고 언급했다.

이완구 원내대표는 같은 자리에서 “모든 일에는 절차와 시기가 있는 법이다. 야당의 냉정한 이성과 합리적인 자세를 촉구한다”며 야당에게 보다 신중한 자세를 주문했다.

이 원내대표는 “급한 것은 정기국회 회기가 하루 남은 입법 심사이며, 이후의 일정이다. 공무원연금개혁과 이른바 사자방 국정조사, 정치개혁특위에 대한 여야 간 공동의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정기국회 폐회 이후 정국에서의 가장 큰 문제는, 폐회 이후 15일부터 열리는 12월 임시국회에 이르기까지 이른바 '청와대 문건파동 정국'이 끝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국민 살림살이와는 무관한 여야 간의 정쟁이 계속해서 지금처럼 이어진다면, 민생 법안 경제활성화 법안을 포함하여 주요 쟁점 법안들은 해를 넘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게다가 임시국회 첫날과 둘째 날은 청와대 문건 유출을 의제로 정해 여야간에 긴급으로 현안질의를 하기로 했다. 결국 15일부터 열리는 임시국회는 초반부터 파행으로 치달을 수 있다. [미디어펜=김규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