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국내 자동차 수출이 북미 수출 증가와 자유무역협정(FTA) 등의 효과에 힘입어 올해보다 약 2% 가량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7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15 자동차산업전망치’에 따르면 국내 자동차 산업의 생산·수출·내수는 소폭 증가할 것으로 관측된다.

   
▲ 산업부, FTA 효과로 내년 자동차 수출 1.6% 증가 전망/뉴시스 자료사진

자동차 수출은 엔저영향, 한국지엠의 쉐보레 브랜드 서유럽 철수 계획 등 여러 악재에도 불구하고 ▲세계 자동차 수요 증가 ▲FTA 관세 인하 ▲르노삼성의 대미 수출 확대 등에 힘입어 올해보다 1.6%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생산은 국내와 해외에서 모두 증가세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다. 국내 생산은 수출의 증가에 힘입어 올해보다 1.1% 증가한 450만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해외생산은 기아 중국 제3공장과 현대 중국 쓰촨사용차 등의 생산능력 확대로 올해보다 4.5% 증가한 460만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됐다.

내수 분야는 전반적인 소비심리 위축에도 불구하고 ▲신차 출시 및 노후차 교체수요 확대 ▲개별소비세 인하▲친환경차 출시 및 지원 확대 등으로 인해 올해보다 2.5% 증가한 165만대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산업부 관계자는 "내년도 자동차 수출은 미국 자동차 시장 성장세와 함께 세계 자동차 수요의 소폭 증가, FTA 추가 관세인하에 따른 가격경쟁력 향상 등에 힘입어 올해보다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김태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