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경지 확보.보존, 밀과 콩 자급기반 확충, 해외시장 접근성 제고 시급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세계적 대확산(팬데믹) 사태로, 지구촌에 '식량안보 위기'가 엄습할 전망이다.

식량자급률이 20%대에 불과한 우리나라는 특히 엄중한 사전 대비태세가 요구되고 있다.

   
▲ 제1차 밀산업 육성 기본계획 [자료=농림축산식품부 제공]


세계식량계획(WFP)의 데이비드 비즐리 사무총장은 최근 A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코로나19 여파로 내년에 '최악의 식량위기'가 찾아올 수 있다면서, 충분한 재원이 마련되지 않으면 세계적으로 엄청난 규모의 기아가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WFP는 기아 퇴치를 위한 유엔 산하 세계 최대 식량원조기구로, 올해 노벨 평화상 수상자다.

비즐리 WFP 사무총장은 인터뷰에서 "가장 힘든 시기는 바로 지금부터"라며 "내년에는 더 극심한 식량난과 기근이 닥친다는 점을 알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도 지난달, 향후 3~6개월 안에 세계 20개국이 식량 위기에 직면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었다.

FAO는 특히 예멘, 남수단, 나이지리아 북동부 등은 오랜 분쟁으로 이미 심각한 상황이고, 아프가니스탄, 카메룬,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콩고 등도 심각하다고 걱정했다.

대한민국도 식량안보 위기에서 예외가 아니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한국은 식량자급률이 20%대에 불과하고, 특히 국민 1인당 경지면적은 세계 꼴찌이기 때문이다.

우선 국내 농업자원, 특히 농경지 확보 및 보존이 시급하다.

김한호 서울대 교수는 최근 한 기고에서 "그동안 산업화와 도시의 성장으로 농경지가 급격히 감소했다"면서 "농경지의 확보, 보존과 국내 농업 생산기반의 확충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주곡인 쌀은 걱정이 없지만, 문제는 '제2의 식량'인 밀과 콩이다.

밀은 자급률이 '겨우 1%'인 실정이며, 품종 개발부터 가공 및 유통까지 산업 전반의 인프라가 턱없이 부족한 형편이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지난 18일 밀산업 육성 기본계획을 내놓았지만, 5년후 자급률 5% 달성이라는 장기적 대책인 데다, 우리밀 가격이 수입산의 3배에 달한다는 구조적 한계가 '걸림돌'이다.

콩은 그나마 최근 논콩 생산단지를 중심으로 생산 기반이 확충되고 있으나, 여전히 자급률이 30%를 밑돌고 있다.

부족한 식량의 확보를 위한 해외시장 접근성 제고가 당장 현실적으로 시급한, 초미의 과제다.

김 교수는 "종전에는 해외 농업자원 개발, 국제 곡물조달시스템 구축 등 하드웨어 차원의 접근이었다"면서 "민간기업의 해외농업개발 진출을 뒷받침하기 위해, 국제 곡물시장 전문인력 양성 같은 소프트웨어 전략도 함께 추진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식량 위기에 대비하는 프로세스를 마련하고, 활용 가능한 식량비축 물량도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