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국내 인터넷 이용자수가 지난 2000년도에 비해 2배 증가한 3701만명으로 증가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지난 29일 한국인터넷진흥원과 함께 실시한 ‘2010년 인터넷 이용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인터넷이용률은 지난 2000년 44.7%(19,040천명)에 불과했으나 초고속인터넷 인프라의 급속한 확산과 더불어 지난 10년 동안 33.1%p 증가하였으며, 이용자수는 약 2배(1.94배)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집계자료 |
연령대별 인터넷 이용자수는 30대가 지난 2000년에 비해 올해 2.1배 늘어난 804만 명으로 이용률은 43.6%에서 99.3%로 55.7%p 급증한 것으로 조사됐으며, 10대(99.9%) 및 20대(99.9%), 30대(99.3%) 젊은층의 인터넷이용률은 거의 100%에 달하고 있다.
또한, 40대는 지난 2000년에 비해 올해 4.7배 늘어난 731만명이며 이용률도 22.7%에서 87.3%로 64.6%p로 각각 증가했다.
 |
▲연령별 이용자 수 |
남녀 성별에 따른 인터넷 이용 조사결과도 집계되었으며, 결과는 남성은 83.2%로 여성인 72.4%에 비해 다소 높은 수치를 보였다.
 |
▲남여간 인터넷 이용자수 결과 |
주요 인터넷 서비스 이용현황은 지난 2000년 76.3%에 비해 올해는 85.5%까지 이메일 이용률 증가율이 조금 낮은데 반해 인터넷쇼핑 이용은 지난 2000년에 비해 올해 52%p 높게 증가했다.
인터넷쇼핑 연령별로는 20대가 90.1%의 이용을 하고 있으며 이 중 70.3%가 스포츠용품, 액세서리, 의류, 신발 등이 차지했다. 특히 나머지 13.3%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로 나타났다.
한편, 조사결과에 따르면 만3~5세 영·유아들의 인터넷 이용률도 눈길을 끄는 대목이다. 만3~5세 영·유아의 인터넷이용률은 63.0%이며, 인터넷 이용자수는 840천명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