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수신료인상저지범국민행동 수신료 인상 거부 기자회견

KBS수신료인상저지범국민행동이 6일 KBS이사회가 임시이사회를 열어 또 다시 수신료 인상안을 논의할 예정인 가운데, KBS이사회의 ‘수신료 인상 추진 중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연다.

KBS이사회는 지난달 29일 정기이사회에서도 수신료 인상안을 상정했으나 여야 추천 이사들의 입장 차이로 인상안을 처리하지 못했다. 당시 이사회에 올라온 인상안은 여당 추천 이사들의 ‘수신료 4600원-광고 20%안’과 야당 추천 이사들의 ‘수신료 3500원-광고유지안’ 두 가지였다고 한다. 일부 야당 이사는 ‘3500원안’이 공식 제안이 아니었는데 안건으로 상정된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범국민행동은 “이명박 정권이 KBS 수신료를 인상하려는 진짜 이유가 ‘조중동 종편’ 지원에 있음은 삼척동자도 다 알고 있다”며 “친정부 신문들을 먹여 살리기 위해 국민의 주머니를 털겠다는 발상만으로도 작금의 수신료 인상 논의는 당장 중단되어야 마땅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수신료 인상은 국민의 부담을 늘리는 일이다. KBS가 공영방송으로서 제 역할을 충실히 하고 있다 해도 섣불리 추진하기 어려운 과제다. 하물며 KBS가 ‘정권의 나팔수’라는 비난을 받는 상황에서, ‘조중동 종편’을 지원하려는 목적으로 수신료 인상을 밀어붙인다면 그 결과는 ‘국민적 저항’일 뿐”이라고 말했다.

범국민행동은 “더욱이 KBS는 지난해 697억의 흑자를 낸 데 이어 올해는 1천억 가까운 흑자를 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도대체 국민들에게 수신료를 올려달라고 주장할 어떤 명분도 없다”며 “KBS 이사들은 수신료 인상 운운하기 전에 KBS를 ‘정권나팔수’에서 정상적인 ‘공영방송’으로 원상회복하는 일부터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범국민행동은 “이미 수신료 인상이 강행되면 ‘제2의 시청료 거부운동’을 불사하겠다고 천명했다”며 “KBS이사회의 ‘수신료 인상안 통과’는 시민사회단체들을 수신료 납부 거부로 한 발짝 더 내몰게 될 것임을 명심하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