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위기 후 첫 두자릿수 감소…초혼연령 10년새 1.4~1.9세↑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지난해 결혼 건수가 외환위기 이후 23년 만에 처음 두 자릿수 감소율을 기록하며, 역대 최소 기록을 갈아치웠다. 

결혼은 '필수가 아닌 선택'이라는 인식이 확산된는 데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결혼을 위한 여건도 나빠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혼인·이혼 통계'에 따르면, 작년 중 혼인(신고 기준) 건수는 21만 4000건으로, 10.7%(2만 6000건) 감소했다.

이는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지난 1970년 이래 최소치로, 감소율은 1971년(-18.9%)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으며, 두자릿수 감소율은 외환위기 당시인 1997년(-10.6%) 이후 23년 만에 처음이다.

이로써 2012년 이후 9년 연속 감소를 기록했다.

   
▲ 결혼식/사진=미디어펜DB


1996년까지만 해도 43만건이던 혼인 건수는 1997년 외환위기 때 30만건대로 떨어진 뒤, 2016년 20만건대까지 추락했고, 이제는 10만건대 진입을 코앞에 두고 있다.

인구 1천명 당 혼인 건수인 조혼인율은 4.2건으로 전년 대비 0.5건 줄면서, 역시 사상 최저치다.

김수영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코로나19로 결혼이 많이 연기되거나 취소된 가운데, 최근에는 결혼 주 연령층인 30대 인구가 줄어드는 추세로, 주거나 고용 등 결혼 여건도 힘들어지며 만혼, 비혼이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과장은 "결혼에 대한 긍정적 인식, 가치관도 점차 변화하는 추세"라고 말했다.

통계청이 지난해 내놓은 '2020년 사회조사'에 의하면 '결혼을 반드시 해야 한다'거나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조사 대상의 51.2%에 그쳤는데, 2010년(64.7%)과 비교해 10년새 14%포인트가량 감소한 수준이다.

남성의 경우 30대 초반, 여성은 20대 후반에 결혼을 하는 경우가 많아, 연령별 혼인율(해당 연령 인구 1000 명당 혼인 건수)이 남자는 30대 초반이 47.6건, 여자는 20대 후반이 44.9건으로 가장 많았다.

평균 초혼 연령이 올라가면서 20대 여성의 결혼은 점차 줄어드는 모습으로, 2020년 20대 후반 여성의 결혼 건수는 전년 대비 7000건(9.1%) 감소하면서, 전체 연령대 중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평균 초혼 연령은 남자가 33.2세로 10년 전보다 1.4세 상승했지만, 국제결혼 등 남성 연상 결혼이 감소한 영향으로 남성 초혼 연령은 1990년 통계 작성 이래 처음으로 감소했다.

여성 평균 초혼 연령은 30.8세로 10년 전보다 1.9세 증가하면서, 통계 작성 이래 최고였다.

초혼 부부 중에는 남자 연상 부부가 65.3%로 가장 큰 비중이고, 여자 연상 부부(18.5%), 동갑 부부(16.2%) 순이었다.

남자 연상 부부 비중은 전년보다 1.5%포인트 줄었으나, 여자 연상 부부는 0.9%포인트 늘었다.

외국인과의 결혼은 1만 5000건으로 전년대비 35.1%(8천건) 급감했고, 전체 결혼 중 외국인과의 결혼 비중은 7.2%로 나타났다.

시도별로는 세종의 조혼인율이 5.3건으로 가장 높았던 반면, 전북·경북·전남(3.4건)은 가장 낮게 집계됐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