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아이폰 6의 열풍을 잠재울 갤럭시 S6의 속살이 조금씩 벗겨지고 있다.
삼성전자 핵심 임원들은 S6의 시제품을 미리 살펴봤다. 임원들은 S6의 소재가 혁신적이고, 기능과 사양 디자인도 한층 업그레이됐다고 긍정적 평가를 내리고 있다. 소재의 경우 메탈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일반모델과 노트4처럼 한쪽 곡면이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진 스타일도 나올 가능성이 높다. 배터리도 애플 아이폰시리즈처럼 내장형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 삼성전자가 3월 1일 스페인 모바일월드콩그레스에서 S6를 공개한다. 전세계 미디어관계자, 주요 사업자, 파터너등에게 보낸 초청장.

삼성전자는 3월 1일 스페인 MWC(월드모바일콩그레스) 개막일을 하루 앞두고 S6 언팩행사를 가질 예정이다. 한국과 미국 중국 등 전세계 갤럭시 마니아들은 3월말이면 S6를 구매할 수 있다. 갤럭시 마니아들은 벌써부터 흥분하고 있다.

아이폰6 위세에 밀려 고전해온 신종균IM사장은 절치부심하고 있다. 이재용 삼성전자부회장도 신사장과 개발팀을 독려하고 있다. 신사장은 S5의 부진이후 두문불출하며 S6 개발에 혼신의 힘을 기울여왔다. 신사장과 개발팀은 월화수목금금금의 초인적 스케줄을 이어가고 있다.

S6는 삼성전자의 명예회복을 위한 비장의 무기다. 이것이 실패하면 삼성전자의 위기설이 고개를 들 수 있다. 어떻게든 성공시켜야 한다. 아이폰6의 열풍을 날려보내야 한다.

삼성전자는 S6가 아이폰6를 물리칠 전략무기가될 수 있다고 자신하고 있다. 급감한 영업이익도 상승세로 돌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국은 물론 미국과 중국 유럽에서 S6가 다시금 판매1위를 회복하는 데 견인차가 되길 바라고 있다.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은 지난해 3분기 4조원대, 4분기 5조원으로 급감했다. 이는 2013년 분기별 10조원대 영업이익을 기록한 것에 비하면 급격히 감소한 것이다.

애플은 아이폰6 대박에 힘입어 지난해 3분기 19조원의 영업이익을 냈다.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등 휴대부문에서 2조원을 올렸다. 애플과 삼성전자 휴대폰사업부문간에 엄청난 격차가 벌어진 것이다.

S6가 대박을 터뜨려야 이재용 부회장의 경영승계도 한층 탄력을 받을 수 있다. 그의 경영능력이 제대로 평가받는 중요한 계기가 된다. S6의 성공여부는 이재용부회장의 리더십에도 중요한 포인트다. [미디어펜=이서영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