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이 2022년 '완전고용 달성'을 목표로 내세우고 있는데, 과연 이것이 가능할 지가 관심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미국의 경제활동참가율은 63.3%에서 61.6%까지 하락했다.
경제활동참가율이 회복돼도, 2022년 4분기 3.8% 실업률이라는 연준의 목표치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향후 17개월 동안 월평균 고용 증가가 51만명 씩이어야 한다.
그러나 1948년 이후 '경기확장기'에도, 월평균 고용증가는 17만 4000명이었다.
|
 |
|
▲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사진=연합뉴스 |
박윤정 NH투자증권 연구원은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전망치에는 경제활동참가율이 코로나19 이전 추세를 온전히 회복하지 못한다는 가정이 내포돼 있다"면서 "경제활동참가율이 하락하면, 연준의 고용 목표치인 자연실업률이 하향조정돼 완전고용 달성이 더 어려워진다"고 지적했다.
문제는 코로나19 이전에도 연준이 자연실업률 전망치를 너무 높게 설정했다는 점이다.
지난 2019년 12월 실업률은 3.6%로, 당시 자연실업률을 0.5%포인트나 밑도는 완전고용 국면이었지만, 전년대비 소비자물가상승률은 1.6%였다.
경제활동참가율이 하락했다면, 자연실업률도 3.6%보다는 낮아야 한다.
박 연구원은 "연준은 내년 완전고용 달성을 전망하고 있지만, 경제활동참가율 하락을 감안하면 현실화되기 어려워 보인다"면서 "6월 FOMC 이후로 조기 금리 인상 논의가 계속 언급되지만, 자산매입 축소(테이퍼링) 이후 첫 번째 기준금리 인상까지는 상당한 휴식기가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