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자산매입프로그램 축소(테이퍼링) 개시 시기를 가늠할 수 있는 '잭슨홀 미팅'을 하루 앞두고, 미국의 경제지표들은 예상보다 부진한 모습이다.
26일(미국 동부시간) 발표된 올해 2분기 미국의 국내총샌산(GDP) 성장률 잠정치는 6.6%로, 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시장전망치 6.7%에 미달했다.
그래도 1분기 6.3%, 2분기 6.6%로 성장세는 지속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당시의 셧다운에서 벗어난 기업들의 사업장 재개, 코로나19 백신 접종 확대, 정부의 대규모 지원 등에 힘입은 것이다.
|
 |
|
▲ 미국공장 노동자들/사진=미디어펜DB |
그러나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유행) 이후, 최근 매주 최저치 갱신했던 미국의 주간 실업보험 청구 건수는 지난주에는 소폭 증가로 전환됐다.
미 노동부는 지난 21로 끝난 한 주간 실업보험 청구자 수가 전주보다 4000명 증가, 35만 3000면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월스트리트저널이 취합한 평균 예상치 35만명을 소폭 웃도는 수치다.
캔자스시티 연방준비은행(연은)이 발표한 8월 중 이 연은 관할 지역의 제조업지수는 29로, 7월의 30보다 소폭 하락했다.
다만, 시장 컨센서스인 26보다는 높았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