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다빈 기자] 홈플러스의 자산유동화에 따른 폐점에 대한 노조와 사측의 입장이 엇갈리고 있다. 홈플러스 노조는 직원들의 일자리 불안정화에 반발하며 추석 연휴 3일간 총 파업을 예고했다. 사측은 이번 파업이 설득력 없는 보여주기식 행동이라고 반박했다.
|
|
|
▲ 16일 오전 11시 서울 홈플러스 동대문점 앞에서 마트산업노동조합 홈플러스지부 서울본부 관계자들이 '추석 연휴 총 파업 돌입'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사진=이다빈 기자 |
마트산업노동조합 홈플러스지부 서울본부는 16일 오전 서울 동대문구 홈플러스 동대문점 앞에서 오는 18일부터 20일까지 3일간 추석총파업에 돌입할 것을 알리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날 기자회견은 서울 홈플러스 동대문점을 포함해 경기, 인천, 대전, 광주, 울산, 경남, 대구 등 9개 지역에서 동시에 진행됐다.
노조가 추석 총 파업을 선포한 이유는 매각 대상으로 거론되는 점포가 늘어가고 있는데에 대한 우려다. 사모펀드 MBK파트너스는 2015년 홈플러스를 인수하고 최근 일부 점포를 매각하며 자금 조달을 위한 임차보증금 유동화에 나섰다.
노조 측은 MBK가 홈플러스를 인수한 뒤로 폐점을 전제로 한 매각을 통해 막대한 시세차익과 개발이익을 노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MBK가 홈플러스를 인수하는데 쓴 차입금을 홈플러스 부동산과 자산으로 갚고 차입금에 대한 이자는 홈플러스의 영업이익으로 갚으며 홈플러스 노동자들의 일자리까지 위협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홈플러스는 자산유동화로 폐점이 확정된 점포에 근무 중인 모든 직원들은 이미 고용보장이 예정됐고, 따라서 노조의 주장은 앞뒤가 맞지 않다는 입장이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올해 폐점된 대전탄방점과 대구스타디움점의 직원들은 전원 전환배치가 완료돼 인근 점포에서 근무 중에 있고 2018년 부천중동점과 동김해점 폐점 당시에도 해당 점포의 모든 직원의 고용보장 약속을 지켰다"며 "자산유동화 등을 통해 폐점되는 점포 직원들이 각각 희망하는 3지망 내의 점포 중 한 곳으로 전환배치 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노조는 또 "홈플러스 폐점 매각을 중단하고 노동자, 배송기사, 입점주 등 10만명의 일자리를 지켜달라고 1년 넘게 호소하고 투쟁하고 있지만 대주주인 MBK는 폐점 매각을 멈추지 않고 갈수록 늘려가고 있다"며 "MBK는 기업약탈과 폐점 매각 중단을 선언하고 10만 노동자의 일자리를 보장하라"라고 촉구했다.
이날 기자회견이 열린 홈플러스 동대문점은 2016년 MBK가 매각한 점포다. 노조는 기자회견 장소로 동대문점을 선정한 이유에 대해 현재 동대문점의 건물주가 재개발을 통해 건물을 매각하려 한다는 소문에 고용 불안정을 우려하는 목소리를 대변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강우철 마트노조 서울본부 본부장은 "건물주가 홈플러스 동대문점을 페점시키고 새 건물을 올릴 수 있다는 상황"이라며 "동대문점과 같은 건물주를 두고 있는 김해점 등의 다른 지역 직원들까지 벌써부터 불안해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노조의 주장에 홈플러스는 물론 다른 유통업체들도 의아하다는 반응이다. 동대문점의 건물주가 건물을 매각하더라도 임차 상황에 있는 홈플러스 영업에는 지장이 없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한 대형마트 업계 관계자는 "건물의 소유권만 넘어가는 상황에서 건물주가 매각을 고려하고 있어 직원들의 일자리가 없어질 것이라는 주장은 논리적이지 않으며 재개발로 새로운 건물이 들어설 것이라는 것도 근거가 없다"라고 말했다.
이날 노조는 "투기 자본의 기업약탈행위를 금지하는 투기자본 규제입법을 당장 제정해야 한다"며 관련 부처가 폐점 사태 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도 요구했다.
사측은 노조가 강경 행동을 멈춰줄 것을 바라고 있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자산유동화 점포 직원들에게 1인당 300만원씩 지급하기로 했으며 개인적인 사유로 자발적인 퇴사를 원하는 직원에게는 위로금 대신 고용안정지원금을 지급할 것"이라고 말했다.
노조에 따르면 이번 파업에는 전국 홈플러스 80여개 매장, 조합원 3500여명이 참가할 계획이다. 사측은 홈플러스 전체 직원 중 마트 노조 소속 직원은 약 10%에 불과하고, 활동을 하지 않는 조합원들까지 포함하면 이번 총 파업이 실제 매장 운영에는 큰 타격이 없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미디어펜=이다빈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