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서영 기자] 검찰의 수사가 포스코 전 경영진의 비리 의혹을 규명하는 쪽으로 확대될 조짐인 가운데 정준양 전 포스코 회장(사진) 등이 출국금지된 것으로 전해졌다.
|
 |
|
▲ 사진=채널A 방송 캡쳐 |
15일 검찰 등에 따르면 정 전 포스코 회장과 포스코건설 비자금에 관련됐던 박모 상무 등이 출국금지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비자금 조성 의혹뿐 아니라 포스코그룹 전반의 부실경영에 따른 책임을 가려보겠다는 게 수사팀의 로드맵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로써 정 전 회장 재임 때 주변에서 구설에 오른 전 정권의 핵심 인사들도 검찰 수사를 피할 수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정 전 회장은 2008년 12월 포스코건설 사장으로 발령난 지 3개월 만인 2009년 2월 포스코회장으로 선임돼 5년 동안 포스코그룹 경영을 총괄했다.포스코건설이 비자금을 조성했던 시기와 상당 부분이 겹친다.
또 정 전 회장 재임 기간 포스코 계열사가 41곳 늘었지만, 이 가운데 절반 가까운 18곳이 자본 잠식되며 경영이 악화한 점도 검찰이 주목하고 있는 부분이다. 포스코는 이러한 계열사 부실로 지난 2008년 9조 원대이던 부채가 2012년 14조 원대로 올라갔다.
특히 지난 2010년 부실 기업이던 성진지오텍 지분 40.4%를 인수해 2013년 7월 포스코플랜텍과 합병할 때 턱없이 높은 가격으로 인수했는데, 당시 정권 실세의 요청이 있었다는 의혹이 제기된 상태다. 정 전 회장은 이명박 정부에서 대표적 'MB맨'으로 불렸던 인물.
지난 13일 비자금 의혹과 관련해 포스코건설 본사를 압수수색한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조상준 부장검사)는 휴일인 15일에도 모두 출근해 압수한 자료를 분석하고 자금 흐름을 살펴보고 있다.
검찰의 수사망이 포스코 모든 계열사로 확대될지 주목된다. 검찰 관계자는 "포스코건설은 수많은 계열사 중 하나다"라며 "비자금 (조성) 의혹만 보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