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분계선과 해상을 통해 입국한 북한이탈주민(탈북자)들이 특별예비군의 편입을 요청해 눈길을 끌고 있다.
인민군 출신 탈북자들로 구성된 북한인민해방전선(이하 북민전)은 7일 탈북자 330여명한테 ‘탈북민 특별예비군’ 설립과 편입을 요청하는 탄원서를 받았고 앞으로 1000명이 될 때까지 탄원서를 계속 받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단체는 오는 13일 궐기대회를 갖고 이명박 대통령과 국방부장관에게 탄원 내용을 공개 전달하는 한편 북한군 전력을 분석해 대응방안을 모색하는 토론회도 함께 열 예정이다.
이 토론회에는 인민군 포병부대에서 복무했거나 군사관련 대학을 나온 탈북자 9명이 참석, 연평도 포격을 주도한 것으로 알려진 인민군 4군단의 전력 배치와 작전전술, 인민군의 포병전술 등에 대해 설명할 계획이다.
이 단체의 김성민 대표는 "천안함 사태와 연평도 도발 이후 탈북자들 사이에서 예비군 편입에 대한 공감대가 강해졌다"며 "탈북자들 입장에서는 한국의 군대기피 현상을 이해하기 어려웠는데 우리가 국가안보에 작은 기여라도 할 수 있었으면 해서 탄원서를 받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한편, 국방부가 국회 국방위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북한 급변사태때 탈북자 등을 예비군으로 편입시키는 방안도 추진할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는 답변자료에 탈북난민 수용 방법 등 세부 사항에 대해서는 국가안보를 위해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병역의무가 없는 탈북자가 예비군에 포함되는 것은 통일이후 북한내 안정화 작전을 펼 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란 판단에서다.
일부 학자는 북한 급변사태시 휴전선을 통해 남한으로 넘어오는 난민과 해상을 이용해 남한으로 오는 난민의 규모를 각각 20만명과 1만5000명 규모로 예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