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중국 경제가 '진퇴양난'의 어려움에 빠졌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경기 하방 우려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이 시급하지만, 부채 급증에 따른 기업 부실화가 '발목'을 잡고 있는 모양새다.
중국 인민은행은 20일 기준금리인 1년 만기 대출우대금리를 연 3.85%에서 3.80%로, 0.05%포인트 '깜짝' 인하했다.
이는 지난해 4월 이후 20개월 만으로, 동결을 예상한 시장 전망과 어긋난 결과다.
|
 |
|
▲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사진=청와대 제공 |
그만큼 최근의 경기 하방 우려가 심각하다는 반증이라는 평가다.
헝다(恒大. 에버그란데) 부도사태로 부각된 부동산 경기 위축,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세계적 원자재 가격 급등과 전력 대란, 글로벌 공급망 '병목 현상'에다 최근 코로나19 재확산까지 겹쳤다.
지난 1분기에 작년의 코로나19 '기저효과'로 18.3%까지 급등했던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3분기에는 4.9%로 급락했다.
특히 코로나19 확진자를 '제로 수준'으로 억제하려는 방침 영향으로, 소비지표 둔화가 가파르다.
중국 국무원의 '싱크탱크' 격인 사회과학원은 올해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8.0%, 내년에는 5.3%까지 하락할 것으로 최근 전망했다.
JP모건체이스가 내년 중국 성장률 전망치를 4.7%로 제시하는 등, 2022년에 중국 정부의 '마지노선'인 5% 성장을 달성하지 못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지난 8~10일 열린 중국 중앙경제공작회의는 "적극적인 재정정책과 온건한 통화정책을 계속 실시해야 한다"면서도 "우리나라 경제 발전이 수요 축소, 공급 충격, 기대치 약세 전환의 '3중 압력'에 직면해 있다"고 언급, '온건한 경기 부양이 필요함을 시사했다.
이런 점에서, 이번 금리인하는 뜻밖이긴 해도, 시장 기대에는 못 미쳤다는 중론이다.
실제 인하 발표 당일, 중국 주식시장에서 상하이종합지수와 항셍지수는 각각 1.07%, 1.93% 하락했다.
중국 당국이 이렇게 '엉거주춤'하는 것은, '구조 개혁'을 위해 강력히 추진하던 부채 감축과 부동산 돈줄 죄기를 갑자기 철회하고, 적극적 경기 부양에 나설 수 없기 때문이다.
중국 회사채 시장의 채무불이행 금액은 작년 2411억 위안으로, 2017년 381억 위안 대비 6배 이상 급증했고, 올해 1~7월 중순 사이에만도 1350억 위안으로 전년동기대비 29.0% 증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중국 기업들의 높은 부채 수준과 차환발행의 어려움으로, 올해도 부도 확대가 지속될 전망이다.
성장세 유지와 부채 축소라는 상반된 난제를 중국이 안고 있는 셈이다.
일단 시진핑(習近平) 주석의 장기 집권 시대를 열 중대 정치행사인 내년 가을 '중국공산당 제20차 전국대표대회'를 앞두고, 완만한 경기 부양이 필요한 시점이다.
그럼에도 시장에서는 미국 등의 금리인상을 앞둔 상황에서 중국이 반대로 가기는 어렵고, 부채 축소를 포기할 수도 없다는 게 중론이다.
한광열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내년에는 중국 정부가 '다소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시행할 가능성이 높다"면서도 "그럼에도 현재의 높은 기업 부채 수준을 감안할 때, 부실 기업에 대해서는 강강하게 대응, 디레버리징이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