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구태경 기자] 정부가 78조원 규모로 2030년까지의 전력망 보강계획을 내년 상반기까지 마련하기로 했다. 또 이를 차기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 및 발전허가시 적극 반영하는 ‘先 전력망 後 발전’으로의 패러다임 전환 추진 의지를 밝혔다.
|
|
|
▲ 박기영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차관./사진=산업부 |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29일 서울 서초구 소재 한국전력공사(이하 한전)아트센터에서, 박기영 제2차관 주재로 한전 등 공기업·공공기관, 민간전문가 및 업계 종사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이러한 내용을 논의한 ‘전력계통 혁신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박 차관은 “2030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이행 및 2050 탄소중립 실현 과정에서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전원은 더욱 빠르게 확대될 전망이지만, 우리 전력계통은 향후 확대될 재생에너지를 수용하기에는 많은 도전과제에 직면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계획돼 있는 송‧변전설비 건설이 빈번히 지연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를 해소할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회의에서 산업부는 상기 문제와 관련 전력망 건설, 운영 및 전반적 제도 측면에서 분석하고 추진과제를 일차적으로 도출한 ‘전력계통 혁신방안’을 발표했다.
전력계통 혁신방안 주요 내용은 △장기간 소요되는 송전망 건설 추진을 위한 투자 확대 △재생에너지 수용 가능한 전력망의 유연한 운영을 통한 계통 안정화 △지역 그리드 정착, 수요 분산 및 시장 매커니즘 강화 등 제도적 기반 구축 등이다.
구체적으로는 현재 수립돼 있는 전력망 계획인 ‘제9차 장기 송‧변전설비계획’에 NDC 상향을 반영한 전력망 보강 로드맵을 차기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 전에 마련해 적극 반영하고, 대규모 풍력발전단지에 대해서는 송전사업자가 공동접속설비를 사전에 구축해 단지 준공 즉시 계통망에 연계한다.
또한 계획된 송‧변전설비 건설 지연이 지속 발생하고 있는 상황을 감안해 인근 주민 등에 대한 지원 혜택을 확대하고, 전원개발촉진법 등 관련 법령 개정을 통해 건설 절차도 개선해나간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재생에너지 발전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원격 제어가 가능한 통합관제시스템을 2025년까지 구축하고, 배전망이 보다 중요해지는 상황을 고려해 배전망 접속용량 상향 및 필요시 제어를 통해 관리하는 ‘선(先) 접속 후(後) 제어(Connect & Manage)’를 도입한다.
이외에도 권역별 전력수급 균형을 이루는 전력망 구축 방안을 검토하고, 특정 지역에 편중된 전력망 수요의 분산을 촉진하기 위한 ‘전력계통 영향평가제도’를 도입해, 재생에너지에 내재된 변동성을 제어하기 위한 시장제도의 단계적 도입, 연구개발 및 인력양성도 본격 추진한다.
박 차관은 “무엇보다도 지역별 분산전원 확대, 기술혁신, 효율적 전력시장 개편 등 향후 추진해나갈 에너지 정책 맥락하에서 최적화된 전력망 투자와 계통 운영 방안을 추진해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전력망 운영의 고도화가 요구되는 상황에서 전력계통망 관련 기관의 기능과 역할을 되짚어보고, 전력계통 운영 전반에 대한 거버넌스 구축도 검토해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박 차관은 이날 간담회에 앞서 서울 남부권역 배전현장을 총괄하고 있는 서초구 소재 ‘강남배전센터’를 방문해 겨울철 전력수급 및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 관리 현황을 점검했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