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되고 있는 논란속 진실은?

KBS 한국방송이 지난 8일 KBS ‘추적60분-사업권 회수 논란, 4대강의 쟁점은’ 편이 방송 하루를 앞둔 7일 저녁 갑자기 ‘보류’ 결정을 내린 것과 관련해, 청와대외압설까지 나오며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전국언론노동조합 KBS본부(본부장엄경철)는 지난 14일 오후 기자회견을 열어 청와대에 출입하는 KBS 정치외교부 기자가 작성한 ‘정치외교부 보고’ 문건을 공개해 논란이 증폭됐다.

이날 공개된 보고서는 지난 3일 작성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김연광 청와대 정무 1비서관(전 월간조선 편집장)이 KBS기자에게 전한 내용들이 담겨있다.

공개된 내용에서 김연광 청와대 정무 1비서관은 “수신료 좀 분위기가 안 좋다. 물가 등 얘기 나온다. 거기에다 홍보 쪽은 물론이고 김두우 기획관리실장도 'KBS가 천안함 <추적60분> 이어 경남도 소송 관련 <추적60분>을 하는 등 반정부적인 이슈를 다룬다. KBS가 왜 그러냐'고 부정적인 보고를 했다. 그런 분위기도 참고해야 할 것 같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KBS 한국방송
▲KBS 한국방송


이러한 외압자료 공개에 대해 KBS사측은 14일 보도자료를 발표해 “외압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 방송 보류는 방송심의 규정 등에 따른 지극히 자율적인 결정이었다”고 입장을 밝혔다.

이어, KBS는 15일 밤 당초 예정됐던 <추적 60분> ‘4대강’ 편 대신 <특선 다큐 라이프생명의 대여정 바다의 먹이사슬>을 대체 방송했으며, ‘4대강’편 방송 내용물에 수정 보완이 필요하기 때문이라는 이유로 불방을 결정했다.

이후 KBS사측에서는 ‘추적60분’ CP(책임프로듀서)에게 “오늘 중으로 신변을 정리하라”고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추적60분’ 강윤기 PD는 15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추적60분의 CP에게 신변을 정리하라는 통보가 왔다. 그리고 이번 사태의 책임도 물리겠다고 한다”며 “불방시킨 사람들이 누군데 제작진에게 책임을 전가하겠다는 의도로 보인다. 도저히 참을 수 없다”격분했다.

이와 관련해 KBS 관계자는 “현재 외압자료가 어떠한 경로로 흘러들어 왔는지 여부는 판단된 것이 없다”며 이어 해당 관계자들의 징계여부에 대해선 “그 건에 대해 징계여부를 들은 바 없다”고 답했다.


시민단체와 민주언론시민연합
▲시민단체와 민주언론시민연합 <추적60분> '4대강' 불방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한편, 이와 관련해 시민단체 및 민주언론시민연합은 오늘 2시에 KBS 본관 앞에서 ‘<추적60분> ‘4대강’ 편을 즉각 방송하라‘ 는 기자회견을 갖고 “공영방송의 시사프로그램이 4대강 사업을 다룬다고 ‘반정부 이슈’ 운운하는 것 자체가 상식 밖의 일이다”며 “나아가 수신료 인상을 미끼삼아 ‘분위기가 안 좋다, 그런 분위기도 참고하라’는 따위의 주장을 편 것은 명백한 외압이다”라고 강력히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