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외여건 악화·투자 부진에도 민간소비 반등에 회복세 유지 전망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3%에서 2.8%로 하향 조정했다.

반면 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국제유가 급등세 등을 고려, 4%대 초반으로 대폭 상향 조정했다. 

올해와 내년 한국 경제가 견실한 회복세를 보이겠지만, 원자재 수급 불안 장기화와 중국 경기 급락, 미국 기준금리 인상 가속화 등이 회복세를 제약할 수 있는 변수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

KDI는 18일 발표한 '2022년 상반기 경제전망'에서, 올해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2.8%로 제시, 지난해 11월 전망한 3.0%에서 소폭 낮췄다.

이는 국제통화기금(IMF)의 2.5%보다는 높지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아시아개발은행(ADB)의 3.0%보다는 낮고, 정부(3.1%)와 한국은행(3.0%)보다도 밑돈다. 

한은은 오는 26일 수정 경제전망을 내놓을 예정인데, 하향 조정 가능성이 크다.

   
▲ 한국개발연구원(KDI) 건물/사진=KDI 제공


KDI는 1분기 민간소비가 부진했던 점과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수입물가 상승, 주요국 금리 인상, 대외여건 악화에 따른 수출 둔화 가능성 등을 고려해, 성장률 전망치를 낮췄다고 밝혔다.

다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글로벌 공급망 교란에 따른 내수 둔화에도, 수출이 개선되면서 완만한 경기 회복을 지속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올해 남은 기간에는 설비투자가 조정 국면에 접어들고 건설투자도 비용 상승으로 부진한 흐름을 보이겠지만, 민간소비가 코로나19 방역 조치 해제와 2차 추가경정예산(추경) 등 재정 지원 효과로, 서비스 소비를 중심으로 반등하면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내다봤다.

2차 추경은 올해 성장률을 0.4%포인트 끌어올릴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에도 민간소비의 견실한 회복세는 유지되겠으나 대외여건 악화로 수출 증가세가 점차 둔화, 연간 성장률이 2.3%로 올해보다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KDI는 올해 물가 상승률을 4.2%로 제시, 지난해 11월 전망했던 1.7%에서 대폭 상향 조정했다.

지난해 말 전망을 한 정부(2.2%), OECD(2.1%)와 올해 2월 전망치를 제시한 한은(3.1%)은 물론, 비교적 최근인 올해 4월 전망치를 수정한 IMF(4.0%), ADB(3.2%)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올해 원유 도입단가(두바이유 기준)는 배럴 당 105 달러로 예측했다.

글로벌 공급망 교란과 경기 둔화로 수출·투자 여건은 악화하는데 유가 급등 등으로 에너지와 식료품 가격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물가 상승 압력이 상당하다는 분석이다.

경기회복에 따른 수요 증가까지 고려, 올해 물가 상승률을 4.2%로 전망했다는 것.

2차 추경은 물가를 0.16%포인트 올릴 것으로 분석했다.

KDI는 내년에는 원유 도입단가가 92달러 정도로 하락, 국제유가 안정으로 물가 상승세가 완만해져 연간 2.2%를 기록할 것으로 관측했다.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올해 2∼3분기에 물가 상승률이 피크를 찍고 4분기부터는 내려가, 내년 하반기에는 물가 안정 목표인 2% 근방으로 낮아질 것"이라며 "이렇게 되려면 물가 상승률을 억제하는 통화정책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

KDI는 올해 수출·입 물량 증가세가 둔화하는 가운데 유가 등 교역조건이 악화, 경상수지 흑자 폭이 작년 883억 달러에서 대폭 축소된 516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에는 교역조건이 개선되지만 서비스 수입이 많이 증가, 경상수지 흑자 폭은 소폭 증가한 602억 달러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취업자 수는 올해 코로나19 거리두기 폐지에 따른 대면서비스업 회복으로 60만명 정도 큰 폭으로 증가하고, 내년에는 양호한 고용 여건이 유지되지만, 기저효과가 있어 증가 폭이 12만명으로 축소될 것으로 판단했다.

KDI는 전반적으로 올해와 내년 한국 경제의 회복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면서도, 원자재 수급 불안과 글로벌 공급망 교란이 장기화하거나 중국 경기가 급락하는 경우, 수출을 중심으로 우리 경제의 성장세가 제약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글로벌 공급망 교란이 지속되면 수출·투자 제약으로 제조업을 중심으로 경기가 위축될 수 있고, 중국이 코로나19 확산 지역을 봉쇄하면, 수요 감소와 중간재 수급 차질로 수출 둔화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다.

또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가속화하고 경제 기초여건이 약한 신흥국을 중심으로 세계 경제 회복세가 제약될 경우, 우리 경제의 회복세에도 부정적인 영향이 파급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