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두산에너빌리티·한전기술·포스코홀딩스, 기술개발·상용화 위한 MOU 체결
[미디어펜=나광호 기자]수소경제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경제적·안정적 물량 공급이 필수라는 주장이 나오는 가운데 원자력을 기반으로 청정수소를 만드는 토대로 마련되고 있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수력원자력은 최근 서울 노보텔 앰베서더호텔에서 열린 '원자력 청정수소 비즈니스 포럼'에서 한국전력기술·두산에너빌리티·포스코홀딩스·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한국원자력학회 등과 기술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들은 국내외 청정수소 생산 동향과 청정수소의 경제성 및 한수원의 기술개발 추진 계획 외에도 법·제도적 해결 방안 등을 논의했다.

   
▲ 27일 서울 노보텔 앰베서더호텔에서 열린 '원자력 청정수소 비즈니스 포럼'에서 (왼쪽부터) 나기용 두산에너빌리티 부사장, 남석우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 회장, 유병옥 포스코홀딩스 부사장, 문재도 수소융합얼라이언스 회장, 정재훈 한수원 사장, 김성암 한국전력기술 사장, 김종남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원장, 정동욱 한국원자력학회 회장이 MOU를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한국수력원자력 제공

한수원은 '대용량 청정수소 생산·저장 플랜트 설계 및 인허가 대비 기반연구' 과제를 수행하는 중으로, 이들과 함께 △생산 기술개발 및 상용화 △해외원전 수출경쟁력 제고를 위한 청정수소 사업모델 개발 △지속가능한 원자력·수소산업 생태계 구축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글로벌 시장은 '원전+청정수소 플랜트' 모델을 앞세워 진출한다는 전략이다. K-원전의 경제성이 미국·프랑스 등 경쟁국 대비 높지만, 전기와 수소를 함께 판매하는 포트폴리오를 통해 이를 더욱 끌어올리겠다는 것이다.

원자력 기반의 수소는 경수로를 비롯한 원전에서 나오는 전기·증기를 이용해 수전해 방식으로 생산된 수소로, 미국의 경우 에너지부(DoE)의 지원 아래 원전 내 수소생산 설비를 설치·운영하는 실증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러시아는 원전을 활용한 메가와트(MW)급 수소생산 프로젝트를 벌이고 있으며, 프랑스와 영국에서도 연구개발(R&D) 및 실증이 이뤄지는 것으로 전해졌다.

국내에서도 한울원전을 중심으로 관련 사업이 벌어지고 있다. 이는 원전은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보다 전력 판매단가가 낮고, 가동률도 높아 수소 생산에 유리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가동 중인 원전을 수소생산에 동원하면 단기간 내 대규모 물량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도 강점이다.

특히 국내의 경우 지난달 원자력 정산단가가 킬로와트시(kWh)당 53.4원으로, 태양광(197.4원)과 풍력(206.2원)의 4분의 1 수준으로 집계됐다. 태양광과 풍력 발전소 이용률도 각각 15·25% 정도에 그치고 있으나, 원전은 70%를 넘는 상황이다. 윤석열 정부가 출범하면서 80%를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 경북 울진 소재 한울 원자력발전소/사진=연합뉴스

한무경 국민의힘 의원도 한국중부발전의 자료를 토대로 풍력발전을 활용한 그린수소 생산에 킬로그램(kg)당 1만4747원의 전기요금이 들어간다는 분석을 내놓은 바 있다.

한 의원은 1kg의 수소를 만들기 위해서는 64.3kWh의 전력량이 필요하고, 지난달 평균 제주도 전력도매가격(SMP)이 kWh당 229.5을 적용한 수치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상명 그린수소 생산설비에서 61일간 수소 706kg을 생산하기 위해 4만5443kWh의 전력이 투입된 바 있다.

또한 설비 투자비와 운영비 등을 감안하면 실제 비용은 더욱 불어나는 반면, 국내 원전 사용시 2164원이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국제원자력기구(IEA) 및 미국 아이다호국립연구소 등은 3000원 정도로 추정했으나, 국내 원전의 발전원가가 낮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수소생산 원가의 70%가 전기요금으로,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그린수소의 경우 태양광·풍력발전의 간헐성 문제도 무시할 수 없다"면서 "원자력 기반의 수소생산을 도입하면 정부가 목표로 하고 있는 단가(kg당 3500원)를 달성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나광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