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월내 유동화증권 4.5조 만기…은행권 일반 대출·담보 차입 등 추가 자금 확보 계획
[미디어펜=이동은 기자]롯데건설이 우발채무 현실화 가능성에 대비해 롯데케미칼, 호텔롯데 등 계열사로부터 7000억원 규모의 자금수혈을 받았다. 6개월 내 만기가 돌아오는 롯데건설의 유동화증권 규모가 4조 5000억원에 달하면서 유동성 위기를 막기 위해 추가 자금조달에 나서야 한다는 관측도 나온다.

26일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지난 21일까지 롯데건설이 신용보강을 제공한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우발채무 규모는 개발사업 5조 5800억원, 정비사업 1조 1600억원 등 총 6조 7500억원이다. 

   
▲ 롯데건설 유동화증권 만기별 분류./자료=한국신용평가 리포트

롯데건설은 지난주 운영자금을 목적으로 계열사로부터 7000억원 규모의 자금을 조달했다. 지난 18일 2000억원 규모의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으며, 20일에는 최대주주인 롯데케미칼로부터 5000억원을 단기차입하기로 했다. 

롯데건설이 대규모 자금조달에 나선 것은 채무인수, 자금보충 약정 등의 신용보강을 제공한 PF 유동화 증권 상환에 대응하기 위함으로 풀이된다.

롯데건설은 유동화 증권의 만기구조가 단기화돼 있고 규모도 건설업계에서 가장 크다. 다른 건설사에 비해 다수의 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시공이익 확대 차원의 브릿지론 신용보강 등으로 자금보충 규모가 확대됐기 때문이다. 

롯데건설 개발사업의 유동화 증권 만기 규모는 올해 말까지 약 2조 8066억원에 달한다. 10월 말까지 1조 930억원, 11월 1조 3970억원, 12월 3162억원으로 집중돼 있다. 내년 1분기에도 1조 7521억원에 대한 만기가 돌아온다. 

올해 만기가 도래하는 주요 유동화 증권으로 △대구남산동공동주택 개발사업 3400억원 △부천상동역세권 개발사업 3400억원 △홈플러스5개점 개발사업 2700억원 △해운대 센텀 개발사업 2250억원 △대전도안2-9지구 1670억원 등이 있다.

PF 우발채무는 부동산 경기가 호황일 경우 프로젝트의 사업성이 떨어지더라도 분양이 잘 돼 차환이나 상환 리스크가 크지 않다. 

그러나 강원도의 레고랜드 개발사업 관련 지급금 지급 의무 불이행 사태 이후 PF 유동화시장 경색이 심화하면서 PF 우발채무가 리스크로 떠오르고 있다.

   
▲ 서울시 강동구 둔촌주공 아파트 재건축 사업지 전경./사진=미디어펜

최근 국내 최대 재건축 단지인 둔촌주공아파트도 사업비 7000억원 차환에 실패하면서 롯데건설을 비롯한 시공사업단이 대신 상환하게 됐다. 롯데건설이 상환해야 하는 금액은 1645억원이다.

한 신용평가사 관계자는 “레고랜드 사태 이후 자금시장이 얼어붙으면서 건설사들의 PF 차환 발행이 어려워지고 있다”며 “롯데건설만의 문제는 아니지만, 롯데건설이 브릿지론 신용보강 등을 제공한 프로젝트가 많고 규모가 크다 보니 차환해야 하는 물량이 많아 자금조달에 선제적으로 나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시장 상황이 좋지 않다 보니 일단 계열사로부터 지원을 받아 급한 불을 끄고, 시장이 안정되고 자금이 돌아가기 시작하면 다시 차환이 가능해 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시장 경색이 장기화해 유동화 증권 차환 발행이 어려워지면 롯데건설은 유동성 압박이 가중돼 보유 자금으로 상환하거나 추가 자금 확보에 나서야 한다. 롯데건설은 9월말 별도 기준으로 7000억원의 현금성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

한 기업분석 전문가는 “롯데건설의 PF 우발채무 규모가 건설사 중 가장 크고 만기 구조가 단기화되어 있는 가운데 하나의 유동화 증권에서 기한이익상실이 발생하면 나머지 유동화 증권에 대한 상환 요구를 받을 수도 있다”며 “연쇄적으로 상환해야 하는 상황을 막기 위해 대규모 자금조달에 나설 수밖에 없었을 것으로 보이며, 추가적인 자금조달에 나서야 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롯데건설은 계열사 7000억원 지원 외에도 은행권 등의 일반 대출, 담보 차입 등으로 1조원 이상의 추가 자금조달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건설은 대규모 자금조달이 자금시장 경색에 대응하기 위한 선제 대응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롯데건설 관계자는 “유상증자와 자금 차입은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위한 것”이라며 “당장 추가 자금을 조달하는 것은 아니지만 일부 사업장에서 차환이 안 되면 상환을 하는 등 모든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나선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디어펜=이동은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