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이 기본연구(10-11) ‘방송채널의 거래와 가격에 관한 연구’ 보고서를 최근 발간했다.
보고서는 유료방송 플랫폼이 상품을 구성하기 위해 콘텐츠 제공자와 거래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가 되고 있는 방송채널의 거래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지속적으로 이슈가 되어온 유료방송 플랫폼 사업자와 PP들 간의 수신료 배분 문제와 지상파방송 재송신 거래에 중점을 두고 연구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기본적으로 PP가 받는 채널사용료는 전체 수신료 수입이 클수록, 플랫폼사업자가 광고수입을 많이 가져갈수록, 채널을 편성하기 위한 콘텐츠비용이 많이 들수록 높아지며, 플랫폼사업자의 비용이 많이 들수록, 그리고 PP가 광고수입을 많이 가져갈수록 낮아진다.
전체 수신료 수입 중에서 PP에게 배분되는 채널사용료 전체 합이 차지하는 비율은 수신료 수입이 광고시장 규모에 비해 상대적으로 클수록 커지게 되므로 국내 수신료 배분 비율이 낮은 것이 어느 정도 설명된다.
한편, 네트워크 용량에 제한이 있어 전송되고자 하는 채널수에 비해 전송될 수 있는 채널수가 적은 경우에는 플랫폼 사업자가 PP에게 주는 채널사용료가 감소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보고서는 다른 한편으로 지상파방송 재송신의 역할로서 많은 국민이 유료방송 플랫폼을 통해서 지상파방송을 수신한다는 점을 감안해 ‘무료 보편적 방송서비스’의 대국민 전달을 지원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면 디지털 지상파방송 위주의 디지털 의무형 상품을 저가로 제공하는 사업자에 대해서 지상파방송 재송신료를 면제해 주는 방안도 검토할 만하다고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