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보급이후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이용자들의 이동통신 통화품질 저하 호소가 사실임을 증명해주는 자료가 제시되었다.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이용경의원(창조한국당)에 따르면 스마트폰이 도입되기 시작한 09년 11월 이후 1년간 이동통신 통화 절단율은 0.19%에 0.55%로 189%나 상승했다. 절단율은 통화가 이루어진 후 중간에 끊어진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동통신의 통화품질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
이 기간 동안 스마트폰 가입자는 46만9천명에서 524만명으로 연간 960%가 증가하여 전체 이동통신가입자의 10.4%를 차지하고 있다.
이처럼 절단율이 1년 새 급격히 상승한 것은 스마트폰의 확산과도 관련이 깊다. 스마트폰 가입자 증가와 함께 데이터 사용량이 315테라바이트(2009. 10월)에서 2,305테라바이트(2010.10월)로 630%나 증가하여 음성 통화 품질 저하를 유발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
▲자료= 방통위 |
통계조사프로그램 분석결과 역시 절단율과 스마트폰 보급비율의 상관계수는 0.983으로 상관관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계수는 1에 가까울수록 상관관계가 높음을 나타낸다.
이용경 의원은 “스마트폰 확산에 따른 음성통화 품질 저하 문제는 초기에 대응방향을 제대로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음성통화 품질 저하에 대한 실태조사를 시급히 추진해야 한다. 또한, 각국이 무선 데이터 폭증에 따라 대비책 마련을 서두르고 있는데, 우리나라 역시 중장기 주파수 소요량 산출을 바탕으로 모바일 시대에 맞는 주파수 확보 계획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 의원은 “투자부실에 따른 망부하 문제는 이동통신사업자가 제어할 수 있는 문제다. 그러나, 한정된 자원인 주파수에 대해서는 이동통신 사업자의 제어 영역에서 벗어난다.”면서 “방송통신위원회가 현재의 주파수 정책이 모바일 시대, 스마트폰 시대에도 여전히 유효한 것인지 정책 재설계의 필요성 여부를 근본적으로 검토해야할 시점이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