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비아 사태가 격화되면서 근로자들을 탈출시킨 건설업체들이 남겨진 중장비ㆍ현장 관리와 공사대금 정산 등 후속조치로 인해 한숨을 내쉬고 있다.
젠탄에서 공공주택 3천300가구를 짓고 있던 업체는 현지 부족에 건설장비의 위탁 관리를 부탁하고 보관증까지 챙겼으나 불안함을 밝혔다.
특히 주택을 건설하던 업체들은 현지 주민이 공사 중인 주택을 무단 점거하고 실소유권을 주장하는 '점유권 분쟁'이 일어날 가능성에도 주목하고 있다.
해외건설협회는 지난달 28일 리비아 탈출 업체 16곳이 참석한 가운데 '리비아사태 법률자문간담회'를 가진 데 이어 내주 중으로 피해 구제책 관련 매뉴얼을 만들어 해당 업체들에 공지하겠다고 밝혔다.
국토해양부는 리비아에 진출한 중소 건설사들이 단기 신용경색을 겪을 것으로 우려돼 이 업체들에 대한 대출금 회수를 중단하고 공사 이행보증을 연장해줄 것을 당부하는 협조 공문을 금융기관에 보냈다고 4일 밝혔다.
또 리비아 진출 기업들이 공사 지연과 장비 분실 등으로 금전적 피해를 입을 것으로 예상돼 리비아 정부를 상대로 피해 보상을 청구하는 방안도 준비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