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 기술 접목된 스마트 플랫폼 시너지효과 기대
[미디어펜=김태우기자]자동차와 IT기술의 융·복합 시대를 맞아 각 분야의 협업이 본격화되며 스마트 폰 기능을 탑재한 차량들이 선을 보이고 있다.
자동차 업계의 이런 현상은 올해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와 스페인 바로셀로나에서 열린 국제 IT 전시회 ‘CES 2015’와 ‘MWC 2015’ 행사장만 봐도 알 수 있다.
|
 |
|
▲ 스마트카의 개념을 설명해주는 그림/KOTRA |
아우디, BMW 등 자동차 제조사는 각각 LG전자, 삼성전자와 협력해 개발한 스마트시계를 활용한 원격 제어 방식을 선보였고, 폭스바겐은 동작 인식을 통해 차량 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메르세데스 벤츠는 자율 주행 자동차를 선보였다.
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앞으로 다가올 스마트카 시대를 맞이해 IT업체들의 다방면의 R&D투자에 발맞춰 완성차 업체들의 자율주행기술의 완성도와 친숙한 접근성을 위한 노력이 한창이다.
국내 완성차업체들 중 현대차는 이미 안드로이드 오토를 적용한 신형 소나타를 선보였고 한국지엠의 쉐보레는 하반기 애플의 카를레이를 적용시킬 것이라고 밝힌바 있다.
안드로이드 오토는 차량과 스마트폰을 연결시켜 전화나 음악, 지도 서비스를 운전 중에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편리하고 안전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만든 플랫폼이다. 애플의 카플레이도 이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카를 위한 플랫폼이다.
이 같은 IT기술이 접목된 차량인 스마트카는 어느 순간 갑자기 나온 것이 아니다. 이미 무인자동차 개발을 위해 자율주행 시스템을 연구해온 완성차 업체의 수많은 연구원들의 노력이 한 단계 친숙하고 편리한 사용을 위해 친숙한 플랫폼 기술을 접목 시킨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스마트카의 기본개념은 자동차에 컴퓨터와 센서를 장치해 운전자의 부담을 덜어주고, 쾌적성과 안정성을 높여서 편리하게 만든 것을 말한다. 즉 궁극의 스마트카는 무인자동차라고 봐도 무방하다.
운전자의 평소 습관과 이미 등록된 일정 등에 맞춰 알아서 길을 안내하고 찾아가는 자동차, 위험요소를 알아서 판단하고 운전자를 사고로부터 보호하는 자동차, 운전자의 피로를 덜어주는 자동차가 바로 스마트카의 나아갈 방향성인 것이다. 이런 목표에 맞춰 다양한 업체의 신기술들이 공개되고 있다.
얼마전 공개된 메르세데스-벤츠의 자율주행 기술인 인텔리전트 드라이브도 이에 포함된다. 메르세데스-벤츠에게 있어 인텔리전트 드라이브는 안전장비를 뛰어넘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프리-세이프 브레이크 ▲나이트 뷰 어시스트 플러스 ▲조향 어시스트와 스탑&고 ▲디스트로닉 플러스 모드를 기반으로 편의성과 안전성이 지능적으로 결합한 혁신적인 테크놀로지로 미래의 자율 주행 시대를 열어가는 데 획기적인 토대를 구축했기 때문이다.
궁극적으로 메르세데스-벤츠는 지금까지 개발한 다양한 안전 기술들로 도로 위의 모든 사고를 줄이기 위해 끊임없는 연구와 노력을 진행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해서 자동차 안전 분야의 트렌드를 선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국내 업체인 현대차도 이런 기능들을 소개하고 있다. 현재는 제네시스 등 일부 차량에만 적용된 ▲주행조향보조시스템(LKAS) ▲어드밴스드스마트크루즈컨트롤(ASCC) ▲자동긴급제동시스템(AES) 등이 있다. 이밖에도 다양한 기술들을 보유하고 있는 현대차지만 아직 법률과 관련된 문제로 실제 차에 적용을 준비중이다.
아직 국내실정에 기술적용 측면에서 수정되어야 할 부분들이 남아있지만 다양한 IT기업들이 미래먹거리로 생각하는 스마트카 시장에서 완성차 업체들의 자율주행 기술과 만나 앞으로 어떤 시너지 효과를 이룰지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와 관련해 현대차 남영연구소 자율주행관련 연구원은 “현재 개발된 기술들을 맹신 할 수는 없지만 좀 더 법률적인 부분이 완화 되고 기술이 보편화 되면 좀 더 발전된 자율주행 자동차와 스마트카 플랫폼과의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