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구 지하 원샷개발 vs 서울시 국제교류복합지구…‘산 넘어 산’

[미디어펜=김태우 기자] 삼성동 한전 부지개발과 관련해 본격적으로 서울시와 협상에 들어간 현대차그룹이 시작부터 엉뚱한 문제로 진통을 겪고 있다. 한전부지가 속해있는 관할 구청인 강남구와 현대차그룹과 협상 테이블에 앉은 서울시와의 의견차 때문이다.

   
▲ 현대자동차그룹이 한전부지를 활용해 완공하려는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 조감도/엔하위키

2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강남구청은 서울시가 한전부지를 포함한 국제교류복합지구 지구단위 계획 확대와 구를 배제한 서울시와 현대차 간의 사전협상에 반발을 하며 소송까지 불사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강남구는 서울시가 제대로 구와 협의하지도 않고 종합운동장 등을 포함해 지구단위계획을 확대하며 공공기여금을 다른 곳에 사용하려한다고 비판했다.

이런 서울시와 강남구의 갈등은 당초 코엑스와 한전부지, 서울의료원까지 묶어 국제교류복합지구로 지정해 개발 사업을 진행한다고 발표했으나 갑작스럽게 잠실종합운동장까지 구역을 넓히는 방향으로 계획을 수정하면서 시작됐다.

서울시의 새로운 계획은 한전부지 개발로 발생한 공공기여금을 강남구와 함께 송파구관할인 잠실종합운동장 개선사업까지 사용한다는 것이다.

공공기여금을 두고 현대차그룹과 서울시는 공공기여율은 36.75%, 금액으로는 약 1조7030억원 규모로 제안했다.

1조원이 넘는 큰 금액인 만큼 지자체에선 자신들의 관할 구역에 이익분배를 늘리려는 이권다툼으로 이어진 것이다.

이런 분쟁의 상황에서 가운데 낀 현대차그룹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건립에 대해 관련 업계는 당초 내년에 첫 삽을 뜨며 착공키로 한 프로젝트의 차질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현재 강남구는 현대차그룹의 공공기여금은 한전부지 주변 영동대로 개발에 최우선으로 사용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강남구는 "영동대로에는 앞으로 7개 광역대중교통 등 인프라가 확충될 예정인데 이런 개발이 모두 별개로 추진되면 최소 20년 이상은 공사를 해야 한다"며 "심각한 교통난이 예상되므로 영동대로 지하 공간 통합개발(원샷개발)이 필수다"고 주장했다.

강남구는 현대차의 공공기여금은  영동대로 지하 원샷개발 초기에 필요한 자금으로 써야 한다는 것이다.

강남구는 시가 이달 11일 현대차로부터 최종 제안서를 접수한 후 강남구와 지역주민을 배제한 채 23일부터 협상단 만남을 갖고 사전협상을 시작했으며 협상조정협의회도 강행했다고 지적하고 있다.

강남구는 "115층 규모에 달하는 개발구상안과 1조7030억원이란 공공기여금 규모를 언론보도를 보고 알 만큼 지방자치의 기본 이념이 짓밟혔다"고 말했다.

강남구는 공공기여금이 영동대로 개발에 최우선으로 사용되는 것을 시가 약속하지 않으면 시의 어떠한 사전 협의도 전면적으로 거부하겠다고 밝혔다.

또 국제교류복합지구 지구단위계획구역 무효확인 및 취소소송도 즉시 제기하겠다고 선언했다.

반면 서울시 관계자는 “관련법규상 개발과정에서 발생한 공공기여금은 지구단위계획 구역을 관할하는 시·군·구 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며 “일부 금액을 잠실종합운동장 개선사업에 사용해도 문제 될 것은 없다”고 주장했다.

툭하면 벌어지는 서울시와 강남구의 이권다툼에 글로벌 위상을 다지기위한 현대차그룹의 GBC건립이 중간에서 난항을 격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지역민이 서울시의 주장에 반대하며 강남구 내에서 ‘현대차그룹 기부채납금 송파구 사용 반대 서명’ 등이 진행되면서 개발계획에 제동이 걸리거나 그룹 이미지가 나빠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재계 관계는 “또 지자체의 이권다툼이 경제 발전을 저해하는 상황이 발생했다”며, “지자체들은 눈앞의 이익이 아닌 폭넓은 시야로 미래를 보는 해안이 필요할 것 같다”며 안타까워했다.

한편, 현대차그룹은 최근 건폐율 38.42%, 용적률 799%를 적용해 연면적 96만㎡에 전시컨벤션센터와 호텔 등으로 쓰일 62층 건물과 통합사옥으로 사용할 115층(최고높이 571m) 건물 등의 계획이 포함된 최종 제안서를 서울시에 제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