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다빈 기자]군은 3일 서해 먼바다에 추락한 북한의 우주발사체 '천리마 1형' 잔해 인양 작전을 이어 실시했다.
|
|
|
▲ 우리군이 31일 오전 8시5분 어청도 서방 200여㎞ 해상에서 '북한 주장 우주발사체' 일부로 추정되는 물체를 식별해 인양 중이다. 2023.5.31./사진=합동참모본부 제공 |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군은 이날 오전 해난구조전대(SSU) 심해 잠수사를 전북 군산 어청도에서 서쪽으로 약 200㎞ 떨어진 바다의 해저로 투입했다.
인양은 잠수사들이 포화잠수를 통해 수심 75m 깊이 바닥에 가라앉은 15m 길이의 잔해에 고장력 밧줄을 묶은 후 끌어올리는 순서로 진행된다.
북한이 공개한 사진을 분석한 결과 천리마 1형의 전체 길이가 29∼30m가량으로 추정됐다. 식별된 잔해는 2단과 3단 추진체가 붙어 있는 형태일 가능성이 있고 이 경우 발사체 상단에 탑재된 군사정찰위성 '만리경 1호'가 발견될 수도 있다.
다만 군은 잔해가 밧줄을 걸기 힘든 원통형인 데다 무게가 상당해 상당한 고난도 작업이 될 것으로 예측했다.
현재 해역에는 3500톤급 수상함구조함 통영함(ATS-Ⅱ)과 광양함(ATS-Ⅱ)이 투입돼 있고 3200톤급 잠수함구조함(ASR)인 청해진함도 전날 오후 합류했다.
청해진함은 물속에서 기체 중독을 막는 포화잠수 장비인 가감압 체임버를 지니고 있다.
심해 잠수사들은 낮은 수온에서도 체온을 유지할 수 있는 '드라이슈트'를 착용하고 선상에서 가감압 체임버에 미리 들어가 해저 기압에 적응하게 된다. 이후 잠수사 이송용 캡슐을 타고 3인 1조로 잠수한다. 잠수사 이송용 캡슐은 잠수사에게 최대 72시간 산소를 공급해준다.
이종섭 국방부 장관은 지난 1일 국회 국방위원회에 출석해 수색 범위에 대한 질문에 "낙하물이 떨어진 구역이 100㎞ 이상 된다"고 말했다.
이 장관은 이르면 3일 잔해가 인양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현장 바닷속 시야가 좋지 않고 정조(停潮·물의 높이가 변하지 않는 시간) 시간이 한정돼 인양 시점이 다소 늦춰질 것으로 보인다.
군은 지난달 31일 처음 찾았던 잔해 이외에 추가로 발견한 잔해는 아직 없는 것으로 전해졌으며 선박 여러 척을 추가로 투입해 수색을 이어가고 있다.
[미디어펜=이다빈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