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박준모 기자]유럽연합(EU)이 디지털 제품 여권(DPP) 제도를 도입할 것으로 예상돼 국내 기업들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개선에 노력하는 등 대응을 서둘러야 한다는 견해가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5일 ‘EU의 디지털 제품 여권(DPP) 추진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를 발간하고 이같이 밝혔다.
|
 |
|
▲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사진=연합뉴스 제공 |
디지털 제품 여권(DPP)은 EU 내 유통되는 모든 제품의 생애주기 정보를 디지털로 수집‧저장·공유하는 제도다. DPP에는 원자재 공급, 유통 관련 정보뿐 아니라 제품 내구성, 재활용‧수리 가능성, 재활용 원재료 비율, 환경 발자국 등 제품의 지속 가능성 정보가 포함된다.
배터리의 경우 이미 DPP 시행이 확정됐다. 2023년 8월 EU 배터리법이 발효됨에 따라 2027년 2월부터 EU에 유통되는 2kWh 이상의 전기차‧산업용 배터리에 대한 디지털 배터리 여권(DBP) 제도가 시행될 예정이다.
이에 EU의 제도 시행에 앞서 주요국은 품목별 대응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독일 전기전자산업협회(ZVEI)는 2022년부터 전자기기에 대한 파일럿 디지털 제품 여권을 구축해 왔다. 중국은 기업‧산업‧품목별 탄소 발자국 데이터 공유 플랫폼 구축을 통해 탄소 중립과 디지털 제품 여권 제도 시행에 대응하고 있다.
보고서는 “EU에 제품을 판매하는 기업과 공급망 참여 기업의 사전 준비가 필수적”이라며 “우리 기업은 EU의 DPP 추진 동향 모니터링, 공급망 단계별 정보 축적 및 디지털 기술 도입, 탄소발자국 감축, 인권·노동 문제 해결 등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항목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또한 정부 및 유관기관 차원의 △배터리 및 섬유 파일럿 DPP 제작 지원 △중소기업 DPP 대응 지원 및 인프라 구축 △산업별 탄소 발자국 산정 및 감축을 위한 탄소 배출 관리 플랫폼 구축 △DPP 관련 국제 컨소시엄 참여 및 협력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김희영 한국무역협회 연구위원은 “DPP는 유럽이 추진 중인 지속 가능성, ESG 규제의 이행 여부를 확인하는 강력한 도구로 자리 잡을 전망”이라며 “DPP 구현 기술 준비와 함께 탄소 발자국 등 DPP에 담길 내용을 우리 기업이 차근차근 준비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미디어펜=박준모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