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박준모 기자]한진은 지난달 31일 경기도 용인시 백암면에 위치한 백암 허브터미널에 노후 설비를 교체하고 휠소터와 상차 슈트 등 자동화 설비 확대를 완료했다고 8일 밝혔다.
|
 |
|
▲ 한진의 경기 용인시 백암 허브터미널./사진=한진 제공 |
이번 설비투자로 처리 수준이 하루 평균 12만 박스에서 최대 15만 박스로 20% 이상 확대됐다.
한진은 늘어난 처리 물량을 바탕으로 패션 고객사를 추가로 확보해 총 2400만 박스 규모를 소화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기존 48% 수준이었던 시장 점유율을 60% 수준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다.
한진의 B2B 패션물량은 지속 증가세다. 2023년 1820만 박스에서 2024년에는 전년 대비 7.1% 증가한 1950만 박스로 증가할 전망이다.
한진은 기존보다 확대된 처리 물량과 신속한 배송 등 서비스 수준 향상을 통해 추가 고객사를 확보할 방침이다. 패션 물류업계 최대 규모인 전국 62개 네트워크와 전담 배송 인력을 운영하며 서비스 경쟁력을 갖고 있다.
현재는 신세계인터내셔날, 코오롱인더스트리 FnC, 신성통상, F&F 등 국내·외 유명 패션브랜드들을 고객사로 두고 있다.
국내 패션 물류의 전문성을 해외로 확장해 지난 2022년 6월 K-패션 해외 진출 지원 서비스인 ‘숲(SWOOP)’을 론칭해 해외 진출을 희망하는 K-패션 브랜드에게 해외 판로 개척 및 판매처를 연결하는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한진 관계자는 “터미널 투자를 통해 고객들이 상품을 신속히 받을 수 있도록 처리 능력을 대폭 늘렸다”며 “이를 통해 더욱 많은 고객사에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박준모 기자]
▶다른기사보기